[시사의창=이태헌 기자]정부의 전력수급계획에 따른 신장수~무주영동 간 송전선로 경유구간에 포함된 경남 거창군이 지자체 차원에서 선로가 지나는데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나서 갈등 증폭이 예상되고 있다.

고압 송전선로 경유 반대입장을 발표하고 있는 구인모 거창군수

거창군은 지난 8일 정부의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확정된 345kV 신장수~무주영동 간 송전선로 건설사업(이하 ‘건설사업’이라 함)의 노선 결정 진행 절차인 주민 주도 입지선정위원회 위원 구성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거창군 지역 송전선로 경유 반대 의견을 명확히 밝혔다.

군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4월 1일까지 이 건설사업의 경과구역에 포함된 3개 면(고제·북상·위천면)을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과 향후 대응 방향에 대해 간담회 등을 개최하여 의견 수렴해 왔다.

신장수~무주영동간 송전선로 위치도

거창군이 송전선로 경유에 반대하는 주된 이유는 세 가지이다.

첫째로, 본 건설사업의 경과 대역에 거창군 일부 지역이 포함된 곳은 사업 경과 대역 중심에서 벗어난 외곽 지역에 위치하여 경제성, 타당성, 당위성 등이 낮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대부분 자연환경과 생태계가 유지되고 있는 덕유산 국립공원과 우리 민족의 고유성과 유구한 생명력을 지닌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인 백두대간이 지나는 중심 구역에 위치하여 자연보전의 중요성이 높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이러한 경제성, 타당성, 당위성과 자연 생태계 보전 등을 위해서는 한국전력공사에서 구성할 광역 입지선정위원회에서 거창군을 경유하는 송전선로 사업은 당연히 배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인모 거창군수는 “관내 주민들로 구성된 송전선로 반대위원회와 공동 협력하여 시기와 상황에 맞는 적극적인 대처로 6만 군민의 뜻을 함께 모으는 데 전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하면서 거창군의 정당한 요구와 권리를 찾아 거창군이 송전선로 건설사업에서 배제가 되도록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전력공사 장기 송변전설비계획(2022~2036년)에 따르면 이 건설사업은 345kV 송전선로로 전남 광양~신장수~무주영동~신세종개폐소~충북 신진천까지 총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국책사업이며, 한국전력공사 주관으로 2031년 12월까지 시행할 계획으로 되어 있다. 거창군 지역은 신장수~무주영동간 사업 경과 구역 내에 고제면, 북상면, 위천면이 포함되어 있다.

한국전력공사는 2025년 2분기 중으로 사업 대상 구역 내 8개 시군을 대상으로 주민대표, 공무원, 전문가, 한전 직원 등으로 구성된 주민 주도 광역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1차로 최적 경과대역을 선정한 후, 최적 경과 대역에 포함된 시군을 대상으로 2차로 입지선정위원회를 재구성하여 최종적으로 최적 경과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입지선정위원회의 운영 기간은 첫 회의일로부터 1년간이며, 최대 1년간 연장이 가능하다.

최적 경과지가 결정되면 경과지 설계 측량, 환경영향평가, 전원개발실시계획 승인 등 행정 절차를 거쳐 2029년경 착공하여 2031년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태헌 경남취재본부장 arim123@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