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이태헌 기자]25년간 자연휴식년제 특별보후구역으로 통제되었던 지리산 칠선계곡이 내년부터 시범개방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지리산 칠선계곡이 25년간 자연휴식년제·특별보호구역으로 통제되면서 주민들이 생계에 어려움을 겪자 국회와 국립공원공단이 해법찾기에 나섰다.
국민의힘 신성범 의원(산청·함양·거창·합천)은 12일 국회 정보위원장실에서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을 만나 “칠선계곡을 자연휴식년제로 묶는 바람에 주민들이 생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며 2027년 기한 만료를 앞두고 지리산 칠선계곡 특별보호구역 해제를 요구했다.
이에 국립공원공단 측은 현행 연 4개월(5~6월·9~10월), 주 3일(금·토·일), 1일 60명 시행되고 있는 탐방예약·가이드제를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연중 6개월(5~10월), 주 5일(수·목·금·토·일), 1일 60명으로 확대해 운영하는 것을 지역사회·시민단체들과 의논하여 결정하기로 했다.
또 특별보호구역이 끝나는 2028년부터는 시범운영 결과에 따라 안전시설 설치와 예산확보 등을 통해 탐방 정책을 개선할 예정이다. 특히 3년간의 시범운영에 따라 신중하게 개선 검토하기로 한 것은 칠선계곡 탐방의 전면적인 변화가 감지되는 대목이다.
지리산 칠선계곡은 1988년 지리산일대 집중호우로 계곡이 크게 훼손되면서 이를 회복하고자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자연휴식년제를 시행했다. 2008년에는 칠선계곡의 가장 비경으로 일컬어지는 비선담부터 천왕봉까지 등산로 5·4㎞ 구간을 2027년까지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해 사실상 해당 구간의 출입이 금지됐다.
특별보호구역이 지정되면서 칠선계곡을 찾았던 연평균 7만명 내외의 탐방객이 2022년 1만명 대로 약 70% 감소했다. 지리산 전체 탐방객 중 칠선계곡을 찾는 사람의 비중 역시 보호구역 지정 이전 2.45%(6만6803명)에서 0.33%(1만2388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쌍계사·중산리·천은사·백무동·바래봉·화엄사·유평·내평 등은 탐방객 수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칠선계곡 특별보호구역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국립공원공단이 2023년 12월 국립공원연구원에 의뢰한 용역보고서에도 칠선계곡의 특별보호구역이 해제되면 지역에 끼치는 경제적인 효과도 개방 이전인 2025년 8억182만원에서, 개방 이후인 2030년 28억8468만원으로 경제적인 효과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추성마을 내 지출비용인 1일·1인 기준 3만4777원을 탐방객 수에 곱한 수치다. 여행 기간 식비·숙박·교통비 등에 쓰는 전체 1인 평균 비용은 6만4874원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탐방예약·가이드제(연 4개월, 금·토·일) 참여율은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정원대비(2440명, 예약정원 일 60명) 참여율은 56.3%(1376명), 2023년 정원대비(2280명) 참여율도 65.4%(1490명)에 불과해 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칠선계곡이 이름만 남게 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신성범 의원은 “지리산 칠선계곡 탐방객 수가 2009년 7만1000명 대에서 2022년 1만2000명 대로 떨어져 주변 주민들이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렇게 오랜 기간 보호구역으로 묶어 제한하는 것은 형평성도 맞지 않는다. 칠선계곡의 안전시설을 정비해 특별보호구역이 끝나는 2028년부터는 완전 개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주민들은 상원교에서 마폭포 2.4㎞ 구간만 정비하면 전면개방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국립공원공단은 해당 구간의 탐방로를 정비하는데만 약 44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태헌 경남취재본부장 arim123@daum,net
종합일간지 국제신문에 입사(1988) 편집국 소속 기자로 부산 경남에서 17년간 근무했으며 2004년 귀향(경남 거창) 도립거창대학과 한국승강기대학교에서 겸임교수 등으로 마케팅 강의를 해오고 있다. 박사학위는 'AHP분석을 통한 남북한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로 경상국립대학교에서 받음(2009)
시사의창
이태헌 경남취재본부장
arim123@daum.net
이태헌 경남취재본부장의 기사 더보기
저작권자 ⓒ 시사의창,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