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국회의원(영암‧무안‧신안)이 해양수산부·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5년 기준 국내 해안사구의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최근 조사 자료는 '17년 연구조사로 이마저도 법정 통계가 아닌 상황이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국내 해안사구가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급격히 훼손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무부처조차 없는 ‘무관리’ 상태 속에, 절반 이상이 이미 훼손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서삼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영암·무안·신안)은 "해양수산부와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89개 해안사구 중 실제 관리 중인 곳은 단 6곳(3%)에 불과하다"고 16일 밝혔다.
해안사구는 해안선을 따라 바람에 의해 모래가 쌓여 형성된 지형으로, 폭풍이나 해일 때 자연 제방 역할을 하며 담수 저장과 희귀 생태계 보존에 기여하는 중요한 자연자원이다.
그러나 정부는 최근 8년 동안 실태조사를 실시하지 않았으며, 법정 통계조차 부재해 현황 파악조차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6년 기준 해안사구는 전남 58곳, 충남 42곳, 강원 30곳, 인천 18곳, 제주 14곳, 경북 12곳, 전북 7곳, 부산 4곳, 경기 2곳, 경남 2곳이었으나, 관리 중인 곳은 충남 2곳, 강원 1곳, 인천 1곳, 경북 1곳, 전북 1곳뿐이었다.
서삼석 국회 의원은 “해안사구는 자연 방어벽이자 담수 저장소, 희귀 동식물의 서식처로서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지만 정부의 관리체계 부재로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1950년대 촬영된 항공사진 분석 결과, 해안사구 면적은 79.4㎢에서 2016년 50.4㎢로 36.5%(29㎢) 감소했으며, 이후 추가 조사가 없어 현재의 정확한 면적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경남 남해군의 해안사구 2곳은 모두 훼손돼 사라졌고, 제주도의 경우 82.4%가 소실된 상태로 나타났다.
서삼석 국회 의원은 “해양수산부·환경부·국가유산청 등 관계기관이 협업해 관리 주체를 명확히 하고, 법·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며,
“국토를 지키는 최전선인 해안사구 보존에 국가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서삼석국회 의원 #해안사구 #연안관리 #환경부 #해양수산부 #국가유산청 #자연보호 #국토보전 #연안훼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