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 수소도시 조성사업 MP 확정 / 부안군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이 미래 에너지 전환의 핵심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부안군은 16일 ‘수소도시 조성사업 기본계획(MP) 수립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고, 지역 내 수소 생산에서 활용까지 연결하는 종합 에너지 순환 체계를 확정지었다. 이번 확정안은 단순한 신재생 프로젝트를 넘어, 부안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탄소중립 선도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실질적 로드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부안군, 수소도시 조성사업 MP 확정 / 부안군 제공

■ 수소경제 시대를 여는 ‘부안형 모델’

부안군이 추진 중인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단순한 청정에너지 시범사업이 아니다.
군은 이미 수전해 기반의 그린수소 생산기지를 중심으로, 수소의 생산–저장–이송–활용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형 시스템 구축을 본격화했다.
이는 ‘생산된 수소를 직접 지역 내 주거지·교통망·산업단지에서 사용하는’ 자립형 순환 에너지 구조로, 전국 지자체 중에서도 가장 실질적인 실행력을 갖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기본계획 수립용역은 ㈜현대건설과 ㈜유신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행했으며, 전북테크노파크가 기술적 자문과 실행 지원을 맡았다.
보고회에서는 ▲수소 공급 인프라 구축 ▲수소 융복합 산업단지 조성 ▲수소 기반 교통수단 확대 ▲주거단지 내 수소열 공급 ▲지역 주민 수용성 확보 등 다섯 가지 핵심 축이 제시됐다.

■ 새만금 RE100과 연계한 에너지 자립 생태계

이번 계획의 핵심은 부안군 단일 사업에 머물지 않는다.
부안군은 새만금 RE100 국가산단, 부안 수전해 수소생산기지와의 연계를 통해, 전북 서남권 전체를 아우르는 에너지 자립형 순환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린수소로부터 얻은 전력과 열은 지역 주거단지의 전기·난방 공급으로 이어지고, 남는 수소는 산업단지 및 수소 교통망으로 공급된다.
이른바 ‘에너지 순환 도시’의 실질적 청사진이 제시된 것이다.

부안군은 향후 수소버스, 수소청소차, 수소택시 등 교통수단 보급 확대를 통해 지역 내 수소 수요를 창출하고, 주민 참여형 에너지 거버넌스를 구축함으로써 정책 수용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군민과의 상생형 수소도시 모델을 확립해 ‘주민이 체감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 수소도시의 미래, 부안이 선도한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이날 보고회에서 “부안이 수소경제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대표 수소도시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다”며 “새만금과의 연계로 수소산업 생태계를 확장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에너지 전환의 중심지로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에는 행정의 선언을 넘어,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주도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담겨 있었다.

부안군은 이미 그린수소 생산기반을 확보한 만큼, 향후 수소 저장·운송 인프라 구축, 연료전지 발전 실증, 수소산업 인력양성 프로그램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는 전북특별자치도의 탄소중립 비전과도 맞물리며, 국가 에너지 전략의 지역 분권형 모델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 탄소중립의 시험무대, 부안이 답이다

부안형 수소도시 프로젝트는 ‘탄소중립’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지방의 실천력으로 풀어내는 사례다.
군 단위 지자체가 기술·산업·주거를 하나의 수소 네트워크로 묶어내는 시도는 국내에서도 보기 드물다.
이제 부안은 단순히 ‘청정에너지 도시’를 넘어, 한국형 수소경제의 현실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보고회를 기점으로, 부안은 에너지 전환의 변방이 아닌 미래 수소산업의 전진기지로 자리매김했다.
그린수소의 도시, "부안" 그 이름이 대한민국 수소경제 지도를 다시 쓰기 시작했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부안군 #수소도시 #탄소중립 #청정에너지 #새만금 #그린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