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경기도의료원 노·사·정이 운영 정상화와 지속 가능한 공공의료 확충에 합의하며 협력체계를 본격 가동했다.경기도는 16일 경기도의료원과 경기도의료원 노동조합이 참여한 노·사·정 협의체가 의료원 운영 정상화와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밝혔다. 15일 경기도의료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기도의료원 운영정상화 및 지속 가능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한 노·사·정 TF’ 제1차 회의에서 재정건전성 회복과 지속 가능한 공공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공동 노력이 논의됐다.
경기도의료원 노·사·정 TF 회의(경기도 제공)
코로나19 이후 환자 수와 의료수익이 회복세이나 속도가 더디고 공공의료기관의 구조적 적자로 재정난이 지속돼 온 점이 배경으로 지목됐다. 노조는 임금 체불과 만성적 재정난 대책을 꾸준히 요구해 왔으며, 이번 합의는 갈등 완화와 제도 개선의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회의에는 경기도 보건건강국, 경기도의료원 본부와 산하 6개 병원(수원·의정부·파주·이천·안성·포천) 노·사 대표, 공공보건의료 전문가가 참석했다. 논의 의제는 ▲운영 정상화 실행 방안 ▲필수의료 인력 확충 및 근무환경 개선 ▲지속 가능한 공공의료체계 구축 방향 등으로 구성됐다.
노조는 현장 인력난과 과중 업무의 지속을 지적하면서도 노·사·정 협력으로 충분히 극복 가능하다고 밝혔다. 경기도의료원은 의료진·직원·지방정부 협력이 공공의료 지속가능성의 핵심이라며 도민이 신뢰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경기도는 의료원이 핵심 거점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제도적·재정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노·사·정은 정기회의와 실무협의를 통해 ‘운영정상화 로드맵’을 공동 마련하고 병원별 재정건전성 확보, 인력 운영 효율화, 조직문화 개선 등 실행 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합의 과제를 정기 점검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 성과를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향후 경기도의료원 TF는 재정 구조 개선과 필수의료 인력 안정화에 초점을 맞추며, 현장 의견을 제도화하고 공공의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모델을 구축하는 데 주력할 전망이다. 도는 협력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공공의료 역할 강화와 지역 의료격차 완화를 위한 후속 정책을 순차 추진할 계획이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경기도의료원 #노사정 #운영정상화 #공공의료 #재정건전성 #필수의료 #의료인력 #근무환경개선 #경기도 #보건의료거버넌스 #지속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