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군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 공모에 대응하기 위해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가는 농어촌 지역에 기본소득을 도입해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 공동체 회복을 동시에 도모하는 국가 단위 시범 정책이다. 사진은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선정을 기원합니다’퍼포먼스를 하고 있다.[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보성군(군수 김철우)이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 공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군은 이번 공모를 단순한 재정 지원 사업이 아닌 지역 농촌 정책의 대전환점으로 보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사업’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가는 농어촌 지역 주민들에게 매월 15만 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을 지급하는 국가 단위 시범정책으로, 2026년부터 2년간 시행된다. 최종 선정 지역은 전국 약 6개 군으로 한정된다.

보성군은 지난 9월 25일 공모 대응 전략 회의를 열고, 군수 직속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본격적인 대응 체제에 들어갔다. TF는 인구정책과, 기획예산실, 문화관광실, 경제교통과, 보건소 등 주요 부서가 참여해 지역 여건과 재정 구조를 반영한 전략형 공모계획서를 정교하게 마련 중이다.

군은 또한 선정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전 군민이 함께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선정 기원 캠페인’을 전개하고, 농업인단체 간담회와 주민 홍보 활동 등을 통해 공모 취지와 기대효과를 공유하고 있다.

보성군 김철우 군수는 “농어촌 기본소득은 생계비 지원이 아닌 농촌 삶의 재설계이자 미래에 대한 투자”라며 “보성군은 이미 다양한 인구·농촌 정책으로 기반을 다져온 만큼, 이번 공모를 통해 ‘보성형 농촌복지 모델’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보성군은 기본소득 지급과 함께 보성사랑상품권 사용처 확대, 결제 편의성 개선 등 소비 촉진 방안을 병행해 ‘받는 지원이 곧 지역 내 소비로 이어지는 구조’를 마련, 지역경제 선순환의 기폭제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보성군 #농어촌기본소득 #농림축산식품부 #기본소득시범사업 #보성형농촌복지 #지역경제선순환 #보성사랑상품권 #김철우군수 #농촌정책 #지속가능농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