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김세전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일본 총리가 부산에서 회담을 갖고 한일 관계 개선과 미·한 무역 현안을 병행 논의했다. 이번 회담은 한일 정상이 공식·비공식 채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접촉한 최근 흐름의 연장선으로, 경제와 안보를 아우르는 협력 의제가 전면에 올랐다.
이 대통령은 일본 측과의 협력 강화를 강조하며 미국과의 무역 협상과 관련한 공동 대응 방안을 언급했다. 일본은 미·일 동맹 차원에서 미국과 긴밀히 협의해온 경험을 공유했고, 한국 정부는 미국의 통상 압박에 대응하는 새로운 협상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3,500억 달러 규모로 거론되는 미국 측의 요구가 한국 경제 전반에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이번 회담은 단순한 외교 이벤트를 넘어 경제 위기 관리의 성격을 띠었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1997년 IMF 외환위기와 같은 국면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선 한국이 일본, 미국과의 외교적 레버리지를 활용해 협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일 관계 회복을 위한 의제도 빠지지 않았다. 이시바 전 총리는 강제징용 문제 이후 냉각된 민간 교류를 정상화하는 것이 양국 모두의 경제적·외교적 이익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 역시 관광·투자 협력을 비롯해 공급망 안정화, 안보 공조까지 연계하는 ‘포괄 협력 구상’을 제안했다.
이번 회담은 한국이 미·중 갈등, 북핵 위기,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서 다층적인 외교 전략을 구사하려는 흐름으로 해석된다. 다만 한일 관계의 구조적 갈등 요인과 미국의 강도 높은 통상 요구가 동시에 작동하는 만큼, 향후 협상의 향배에 따라 한국 경제와 외교 전략 전반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김세전 기자 hogigun@gmail.com
#한일정상회담 #이재명 #이시바 #미한무역 #한일관계 #경제외교 #IMF위기 #부산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