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혁신 리더 특강


[시사의창=원희경 기자] 경남 하동군이 지난 16일 군청 소회의실에서 ‘탄소중립시대 하동군의 생존전략’을 주제로 내부 혁신리더 ESG 특강을 열었다.

강연은 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장과 대통령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 사무처장을 지낸 정복영 교수가 맡아, 행정 전반의 지속가능 역량을 실제 정책 도구와 시장 메커니즘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짚었다.

정 교수는 탄소중립의 국제·국내 흐름을 시대적 전환으로 규정했다. 그는 “세계는 탄소를 줄이고 자원을 순환시키며 자연을 자산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디지털로 자동화하는 단계로 넘어가고 있다”며, 이상기후로 인한 농어촌 기반 흔들림 속에서도 지방에 새로운 기회가 열린다고 강조했다. 배출권거래제(ETS), 자연자본회계, TNFD(자연관련 공시) 등을 사례로 제시하며 행정이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로드맵을 설명했다. 한국은 2050 탄소중립을 법으로 명시했고(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2015년부터 아시아 최초의 전면적 국가 배출권거래제(K-ETS)를 가동해 산업 전반의 감축 유인을 설계해 왔다고 배경을 덧붙였다.

강연의 초점은 ‘하동형 ESG 행정’이었다. 참석 공무원들은 탄소배출권·상쇄사업 같은 시장수단과 함께, 자연자본을 자산처럼 관리하는 개념을 공유했다. 정 교수는 생태계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데이터로 계량하고, 지역별로 발생하는 자연·기후 리스크와 기회를 공시 체계로 연결하는 흐름을 설명했다. TNFD 권고안이 확산되면서 금융·기업은 물론 지방정부도 자연의존도·영향·위험을 분석·공시하는 시대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고 했다.

군은 이번 교육을 계기로 탄소중립과 ESG를 일회성 캠페인이 아니라 정책설계·예산배분·성과지표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한 참석자는 “이상기후가 상수가 된 만큼 공직사회가 ESG 행정을 이해하고 바뀌어야 한다. 탄소중립은 생존전략이자 하동 미래를 지키는 대전환의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하동군은 환경 보전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고, 데이터 기반 자연자본 관리 및 지역 배출권·상쇄사업 연계를 검토해 ‘지방에서 시작하는 순환경제’ 모델을 다지겠다고 밝혔다. 국제적 기준과 국내 제도 정합성을 맞추며(2050 탄소중립 법제, 2030 감축목표, K-ETS), 자연자본회계·포트폴리오 공시 같은 글로벌 흐름을 행정에 단계적으로 이식한다는 구상이다.

원희경 기자 chang-m1@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하동군 #탄소중립 #ESG #자연자본 #배출권거래제 #KETS #TNFD #지속가능발전 #순환경제 #기후위기 #지역행정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