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합참의장 회의 종료 후 한미합참의장과 일 통합막료장 등 방한 일행이 해군2함대사령부를 방문해 천안함 추모비에서 천사자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한미일 3국의 합동참모의장이 처음으로 대한민국 해군 제2함대를 함께 찾아, 북한의 기습 어뢰 공격으로 희생된 천안함 46용사를 추모했다. 이번 방문은 북핵 위협과 군사 도발에 대한 3국의 공동 대응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행보로 해석된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김명수 대한민국 합참의장과 댄 케인 미국 합참의장, 요시다 요시히데 일본 통합막료장은 11일 서울에서 열린 제22차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 직후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해군 제2함대 사령부를 방문해 천안함 추모비 앞에 헌화하고 묵념을 올렸다.

이날 3국 합참의장이 천안함 추모를 위해 직접 현장을 함께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은 댄 케인 미국 합참의장(좌측), 요시다 요시히데 일본 통합막료장(우측)은 11일 서울에서 열린 제22차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 직후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해군 제2함대 사령부를 방문해 천안함 추모비 앞에 헌화하고 묵념을 올렸다.

천안함(PCC-772)은 2010년 3월 26일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 장병 46명이 순직한 비극적인 사건이다. 이같은 공동 추모는 북한의 군사 도발에 대한 한미일의 단호한 대응 의지를 내외부에 천명한 것으로 분석된다.

3국 합참의장은 이날 회의 후 공동보도문을 통해 “북한의 불법적 핵·탄도미사일 개발을 강력히 규탄하며, 유엔 안보리 결의(UNSCR)에 따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최근 북한의 러시아에 대한 병력 지원 움직임과, 러시아에서 북한으로의 군사 기술 이전 가능성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논의를 나눴다”고 밝혔다.

또한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 지역, 나아가 국제사회의 안정을 해치는 북한의 모든 불법적 행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며, 향후에도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들은 한미일 안보협력체제가 한반도와 인태지역의 평화 및 번영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재확인하며, 이를 바탕으로 3국 간 전략적 협력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들을 중점 논의했다.

한편, 다음 제23차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는 2026년 미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해군2함대 #한미일합참의장 #천안함46용사 #북핵위협 #해군2함대 #한미일안보협력 #유엔안보리 #북한도발 #인태지역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