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강기정 시장은 26일 ‘2026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광주가 피땀으로 지켜온 민주의 가치는 이제 성장의 기회로 이어져야 한다”며 “2026년은 민생·성장·돌봄·기후의 4대 전략을 중심으로 ‘부강한 도시 광주’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사진은 강기정 시장이 26일 오전 시의회 본회의장에서 2026년도 광주광역시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 제출에 따른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광역시가 2026년을 ‘부강한 도시 광주’의 원년으로 선언하며 민생·성장·돌봄·기후를 중심으로 한 7조6823억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확정했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이번 예산안이 어려운 경기 상황에서도 시민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목표를 두고 핵심 전략사업에 투입될 재원을 집중했다"고 26일 밝혔다.
광주광역시는 올해보다 780억원(1.0%) 늘어난 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했으며, 일반회계는 6조2725억원, 특별회계는 1조4098억원으로 편성됐다. 자체 수입 감소에도 국고보조금이 7.4% 증가해 주요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한 만큼 ‘민생 회복과 미래산업 투자’라는 두 가지 가치를 균형 있게 담았다는 평가다.
먼저 민생 예산 분야에서는 경기 둔화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을 강화한다. 특례보증자금, 노란우산 장려금, 공공배달앱 확대, 디지털 전환 지원, 전통시장 활성화 등 지역경제 기반 강화를 위한 다층 지원책이 마련됐다. 지역화폐 ‘광주상생카드’도 410억원 규모로 편성해 소비 선순환 구조를 유지한다.
미래 성장 전략에서도 대규모 투자가 이어진다. 광주광역시는 AX실증밸리 조성, AI모빌리티 신도시 구상, 미래차 전장 플랫폼 구축 등 AI·미래차 산업 프로젝트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창업 생태계 확장을 위해 창업펀드 확대, 창업기업성장지원센터 운영, 그린스타트업타운 준공도 추진된다.
돌봄 분야 예산도 크게 확대됐다. 어린이집 아동 필요경비 지원 확대, 산모·영아 돌봄 지원, 손자녀 가족돌보미, 공공심야어린이병원 확대, 달빛어린이병원 운영 등 생애주기별 복지체계가 촘촘히 강화된다. 더불어 위기 상황에서도 끊김 없는 지원을 실현하기 위한 ‘광주다움 통합돌봄’ 사업도 유지·확대된다.
기후 대응 예산은 기후위기 시대의 핵심 투자로 분류됐다. 대중교통·보행 중심 도시 전환과 재난 대응 강화를 위해 저류시설 설치, 취약지역 주거환경 개선, 재해위험지구 정비 등이 추진된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과 주요 도로 확장 등 교통 인프라 투자도 균형 발전 전략과 맞물려 진행된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가 피땀으로 지켜온 민주주의의 가치를 시민 삶의 성장으로 이어가는 것이 지금 광주가 가야 할 길”이라며 “불요불급한 예산을 줄이고 핵심 전략에 집중해 민생은 지키고 미래는 준비하는 2026년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광주시의회와 시민 모두의 협력 속에서 부강한 도시 광주의 본격적인 등장이 시작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 #2026예산안 #부강한도시광주 #민생예산 #AI미래차 #돌봄정책 #기후위기대응 #강기정시장 #광주성장전략 #지역경제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