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교육청은 26일 여수에서 전라남도 민관산학 교육협력위원회 제6회 정기회를 열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공생하는 교육생태계 실현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김대중 전남교육감이 26일 여수에서 열린 ‘전라남도 민관산학 교육협력위원회’정기회에서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전라남도교육청이 학교와 지역이 함께 만드는 미래교육 구현을 위해 민·관·산·학이 한자리에 모였다.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은 "26일 여수에서 전라남도 민관산학 교육협력위원회(위원장 김정빈) 제6회 정기회를 개최하고 ‘함께 만드는 2026 전남교육’ 추진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김정빈 위원장을 비롯한 전남 지역 대표 민·관·산·학 위원들이 참여해 2026년 전남교육의 주요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현안 과제 해결을 위한 협력 체계를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위원들은 학교와 지역사회가 공생하는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으며, 분야별 경험과 관점을 바탕으로 실천 방안을 폭넓게 나눴다.

안건 협의에서는 학생 주도적 배움이 실현되는 학교 문화 정착, 지역 기반 교육생태계의 지속가능 확산, 세계와 지역을 잇는 글로컬 교육체계 강화가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특히 전남교육청이 역점 사업으로 추진 중인 ‘학생주도 2030교실’ 확산 전략과 교육·산업·지역의 연계로 완성되는 전남형 AI 인재양성 모델 구축이 주요 관심사로 부각됐다.

위원들은 미래사회의 기술 변화가 교육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공감하며, AI 시대 학생 역량 강화와 함께 사회적 교육격차·윤리적 위험 요인에 대비한 체계 구축 필요성도 강조했다. 나아가 AI 교육의 확산이 학교 내부를 넘어 지역·산업계까지 연계되도록 협력 구조를 공고히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전라남도 민관산학 교육협력위원회 김정빈 위원장은 “2026년 전남교육의 역점사업이 흔들림 없이 추진될 때 전남교육이 곧 대한민국 미래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위원회에서 논의된 제안들이 현장 실행 계획에 적극 반영돼 전남교육의 도약을 이루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대중 교육감은 “AI 시대와 인구·산업 구조 변화 속에서 지역사회와 교육공동체의 연대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전남교육이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글로컬 미래교육의 기준이 되도록 교육청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라남도교육청은 2023년 출범한 ‘전라남도 민관산학 교육협력위원회’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교육 거버넌스를 구축해 왔으며, 앞으로도 학교·지자체·산업·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협력 기반을 더욱 확장해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전남 미래교육을 실현할 계획이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교육청 #민관산학교육협력위원회 #2026전남교육 #글로컬미래교육 #AI인재양성 #학생주도2030교실 #미래교육생태계 #교육거버넌스 #김대중교육감 #지역연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