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은 남북 학생이 함께 미래를 설계하는 ‘통일(統一)에서 통일(通一)로’남북 학생 교류 모델을 마련해 통일부에 공식 제안하고, 학생 주도 평화·통일교육 기반을 확대하는 사업 추진 계획을 밝혔다.사진은 김대중 전남교육감이 지난 25일 통일부를 방문해 정동영 통일부장관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이 "남북 학생이 함께 미래를 설계하는 ‘통일(統一)에서 통일(通一)로’ 남북 학생 교류 모델을 마련해 통일부에 정식 제안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추진 계획은 학생 주도 평화·통일교육의 방향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고, 미래세대가 직접 평화를 경험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다.
전라남도교육청은 전남 지역이 보유한 문화·지리적 특성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고향이라는 상징성, 그리고 지난 10년간 독서·토론 중심 인문교육을 통해 축적된 성과를 기반으로 남북 학생 교류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3단계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는 단순한 교류가 아닌 미래세대 중심의 평화 감수성 함양과 전국적 참여 확산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로드맵은 1단계 ‘평화 품은 책길 10주년 한마당’, 2단계 ‘전남·경북 학생 평화 수호 프로젝트’, 3단계 ‘전국 10만 학생 참여 통일 인재 양성 교류’로 이어진다. 이미 2025년 9월 개최된 1단계 행사를 통해 교류 추진이 선언되었으며, 평화·통일교육의 성과가 전국과 세계로 확산될 발판을 마련했다.
2026년 7월 추진 예정인 2단계 ‘전남·경북 학생 평화 수호 프로젝트’는 DMZ 탐방, 평화·민주 역사 장소 순례, 인문학적 고찰 등 동·서 지역 간 상호이해와 평화 의식을 넓히는 데 초점을 둔다.
3단계는 목포역–도라산역–개성역–평양역–단동을 잇는 남북 학생 교류를 목표로 하며, 북측 진입이 어려울 경우 임진각 일대에서 아시아 청소년 평화포럼과 문화예술 축제를 개최해 전국 10만 학생이 참여하는 실질적 교류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전라남도교육청은 남북 학생 교류의 지속성과 제도화를 위해 (가칭) ‘아시아 의(義) 청소년 평화교육센터’ 설립도 동시에 제안했다. 센터가 설립될 경우 전남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나아가 아시아 청소년 평화 교육을 연결하는 글로벌 허브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대중 교육감은 지난 25일 통일부를 직접 방문해 추진 계획을 정동영 통일부 장관에게 전달했다. 이 자리에는 김문수 국회의원과 나광국 전남도의원도 함께해 전라남도교육청–중앙정부–지방정부 간 협력 체계가 작동되는 모범 사례를 보여줬다. 정책제안이 통일부와 교육부의 공동 협의 구조 속에서 이루어졌다는 점 역시 정책적 의미를 더했다.
정동영 장관은 전남교육청의 평화교육 축적 과정과 장기적 교육 비전에 놀라움을 표하며 “전남교육청의 계획 실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남북교류 기금 예산 제약이 있는 만큼 기금 활용을 위한 법 개정이 추진된다면 최우선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국회의원은 “평화·민주·인권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며 법·제도적 뒷받침을 약속했고, 나광국 전남도의원도 “교육청과 지자체의 협력으로 사업을 현실화하겠다”고 밝혔다.
김대중 교육감은 “기후위기와 AI 시대를 살아갈 미래세대에게는 국경을 넘어선 초국가적 평화 감수성이 중요하다”며 “학생들이 평화를 삶 속에서 경험하고 배우며 리더로 성장하도록 남북 학생 교류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의지를 강조했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교육청 #남북학생교류 #평화교육 #통일교육 #김대중교육감 #통일부제안 #평화수호프로젝트 #청소년평화포럼 #교육정책 #전국10만학생 #아시아평화교육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