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현 부안군수, 국회 기후위기 대응 정책 토론회 참석 / 부안군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기후변화 대응이 지방정부의 핵심 과제로 부상한 가운데,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이 국가적 논의의 중심에 섰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와 지방이 함께하는 탄소중립 실현 기후위기 대응 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부안군의 기후위기 대응 전략을 발표하고 지방정부의 역할 강화를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와 기후위기 대응·에너지전환 지방정부협의회가 공동 주최했으며, 중앙정부 관계자와 지방자치단체장, 기후정책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들은 국가 차원의 기후위기 대응 과제와 함께 지방의 탄소중립 실천방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 “기후위기는 환경이 아닌 생존의 문제”…부안군의 현장 전략

이날 권 군수는 부안군이 추진 중인 ‘서해바다 바다단풍 블루카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지역 맞춤형 탄소중립 정책을 소개했다.

이 사업은 줄포만 갯벌에 염생식물 군락지를 조성해 해양 생태계의 탄소 흡수 기능을 강화하고, 생태 복원을 통해 지역의 기후회복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안군은 이를 통해 해양 탄소흡수원(Blue Carbon) 확보와 지속가능한 지역 생태산업 기반 조성을 병행하고 있다.

권 군수는 “기후위기 대응은 단순히 환경정책이 아닌 미래 세대의 생존권을 지키는 국가적 과업”이라며 “탄소중립 실현은 교육, 산업, 복지 등 모든 분야와 긴밀히 연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국회·지방 협력 통한 기후분권 논의

토론회에서는 위성곤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국회의원과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해, 중앙과 지방의 협력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한 ‘기후분권’ 정책을 집중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특히 지방정부가 지역 특성을 반영한 기후정책을 자율적으로 설계·시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부안군의 블루카본 모델은 이러한 분권형 정책의 대표 사례로 주목받았다.

■ “현장에서 답을 찾는 부안형 기후정책”

부안군은 최근 ‘기후위기 대응 선도지자체’로 주목받고 있다. 갯벌 생태 복원, 해안 탄소흡수원 확보, 친환경에너지 전환 등 다각도의 정책을 추진하며, 지역의 산업과 환경을 동시에 살리는 균형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권익현 군수는 이날 발언에서 “기후위기 대응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지방정부가 앞장서 현장에서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밝히며 “부안군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전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 부안군, 기후위기 대응 ‘모범 지자체’로 부상

이번 토론회를 통해 부안군은 ‘지속가능한 해양도시’로서의 비전을 구체화했다. 블루카본 프로젝트 외에도, 부안군은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충, 기후적응형 농업 기술 개발, 에너지 자립형 마을 조성 등 실질적 기후대응 정책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내에서도 선도적 행보를 보이는 부안군의 정책은 향후 타 지방정부의 벤치마킹 모델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지속가능한 미래는 선언이 아니라 실행으로 증명해야 한다. 부안군은 지역의 생태, 산업, 복지, 교육이 함께 순환하는 탄소중립 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기후위기 대응의 범위를 국가에서 지방으로 확장하는 분수령이 되었으며, 부안군의 실천적 전략은 지방정부의 기후정책이 단순한 참여를 넘어 ‘변화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부안군수 #국회의원회관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지방정부협의회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기후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