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와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가 수도권 남부 반도체 클러스터 통합을 위한 연계교통망 구축에 본격 나선다. 양 시는 21일 고양시청 백석별관에서 '용인~화성간 연계교통 상생발전 공동선언식'을 열고 광역 도로망 확충과 철도 신설 추진에 합의했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왼쪽)과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오른쪽)이 '용인-화성 연계교통 상생발전 공동선언문'에 서명하고 도로와 철도 인프라 구축에 협력하기로 했다.(용인시 제공)
이번 공동선언에 따라 용인의 남사·이동읍에 조성 중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화성 동탄을 잇는 직통 도로가 신설되고, 국지도 82·84호선 도로 사업이 추진되며, 경기남부 동서횡단선(반도체선)이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상일 시장은 "양 지역 교통연계 강화는 남사·이동읍 국가산단과 반도체특화 신도시 활성화를 촉발하고, 남사·이동읍과 동탄이 공동생활권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 남사·이동읍에 신설될 도로·터널은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이동읍 반도체특화 신도시, 화성 동탄2지구를 최단거리로 연결한다. 동탄 신동에서 남사읍 완장리까지 이어지는 이 도로가 완성되면 기존 국지도 82·84호선의 차량 통행량이 약 15% 감소할 것으로 용인시는 예측하고 있다. 이상일 시장은 "새로운 도로 신설로 양 도시 시민들이 왕래할 수 있는 선택지가 증가해 교통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며 "산업물류 흐름도 한층 원활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도로 신설에 따라 시외버스 노선 신설 등 대중교통 수단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남사·이동읍 국가산단과 반도체특화 신도시 중심으로 형성될 대규모 상업시설, 스포츠·레저시설, 문화시설의 활성화를 불러올 수 있다. 용인시는 이 같은 교통 인프라 구축이 양 도시를 하나의 공동생활권으로 만드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용인과 화성의 교통망 통합은 국가 차원의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와도 맞닿아 있다. 삼성전자가 360조원을 투자하는 용인 남사·이동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이 본격 가동될 경우, 화성 동탄과의 통합 생활권 조성은 전문인력 수급과 산업 물류 효율화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양 시는 또 반도체 클러스터 연계 강화, 전문인력의 정주여건 개선, 문화예술·생활체육 인프라 공동 이용 등에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이상일 시장은 앞서 20일 서울 국회의사당에서 이준석 의원(개혁신당·화성시을)을 만나 연계교통망 구축에 대한 국회 차원의 협력을 논의했다. 이 의원은 지난 6월 16일 용인시청에서 이상일 시장과 만나 양 지역 도로 신설을 통한 공동발전을 제안한 바 있다. 이 시장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며 교통연계망 확충 방안을 마련하도록 시 공직자들에게 지시했고, 화성시와도 협력 논의를 진행해왔다.
양 시는 향후 산업, 상업,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강화하고, 첨단산업 기업 유치와 전문인력 확보에서 상호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용인과 화성을 중심으로 수도권 남부에 형성될 새로운 대규모 공동생활권은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인 반도체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용인특례시 #화성특례시 #남사이동읍 #동탄2지구 #첨단시스템반도체국가산단 #반도체특화신도시 #연계교통망 #도로신설 #철도구축 #이상일시장 #정명근시장 #반도체클러스터 #광역도로망 #상생발전 #공동생활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