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경기도가 2040년 화성시의 장기 발전 밑그림인 ‘204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을 승인하며 목표 인구 154만 명을 제시했다.
‘204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을 승인하며 목표 인구 154만 명을 제시했다. (경기도 제공)
이번 계획에는 2도심·4부도심·9지역중심으로 이어지는 도시공간구조와 생활권·교통·산업·관광 전략이 담겼으며, 화성을 ‘첨단기술과 문화가 만나는 지속가능한 글로벌 도시’로 육성한다는 비전이 포함됐다.
경기도는 24일 화성시가 제출한 ‘204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안)’을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attached_file:file:1] 화성 도시기본계획은 화성시 전체 행정구역 1,126.32㎢를 대상으로 미래 도시공간 구조와 토지이용, 교통 및 생활권 구상 등을 담은 최상위 법정 계획으로, 지속 가능한 국토 관리와 장기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핵심이다.
계획에 따르면 2040년 화성시 목표 계획인구는 통계청 인구추계, 공공주택지구, 역세권 개발사업 등을 반영해 154만 명으로 설정됐으며, 이는 현재 약 104만 명에서 50만 명가량 증가한 수치다. 토지이용 측면에서는 기존 시가화된 102.19㎢를 시가화용지로, 향후 개발 가용지 46.85㎢를 시가화예정용지로 계획하고, 나머지 977.28㎢는 보전용지로 확정해 개발과 환경보전의 균형을 도모했다.
도시공간구조는 지역 간 균형발전을 목표로 2도심·4부도심·9지역중심 체계로 재편된다.생활권은 동탄·동부·중부·서부 4개 권역으로 나뉘며, 동탄은 신산업 생태계와 친환경 생태도시, 동부는 광역환승거점과 관광산업, 중부는 산·학·연 네트워크와 녹색관광벨트, 서부는 자동차·바이오 클러스터와 해양관광 육성에 초점을 맞춘 발전전략을 담았다.
교통계획은 대규모 개발사업지와 기존 시가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주요 생활권을 잇는 순환도로망 구축과 GTX-A·C를 포함한 철도망 계획 등 경기 서부 SOC 대개발과 연계된 기반시설 확충이 골자다. 경기도는 이번 승인으로 봉담3·진안 공공주택지구, 송산그린시티, 화성 국제테마파크, 역세권 개발 등과 연계한 도시 성장과 함께 시민 삶의 질 제고를 기대하고 있으며, 계획 내용은 12월 중 화성시 누리집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경기도 #화성시 #2040도시기본계획 #인구154만명 #2도심4부도심 #9지역중심 #동탄생활권 #GTX_A #GTX_C #순환도로망 #송산그린시티 #화성국제테마파크 #공공주택지구 #봉담3 #진안지구 #지속가능도시 #글로벌도시전략 #경기서부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