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의 길 위에서 르네상스인들의 숨결을 따라 걷고,
밀라노에서 미켈란젤로와 다빈치 예술의 본질에 다가서며,
베네치아에서 조르조네가 틔운 근대 회화의 씨앗을 본다.

임남희 지음 | 모요사출판사 펴냄
[시사의창=서병철] 런던에 거주하며 꾸준히 유럽의 미술관을 순례해온 저자는 ‘작품이 걸린 자리 역시 예술의 일부’라는 믿음으로, 그림 너머의 시대상, 예술가의 고뇌, 그리고 작품이 있던 그 자리의 공기까지 되살려 낸다. 이 책은 단지 미술사 해설서나 미술관 순례기가 아니다. 예술의 본질, 인간의 불안, 경쟁과 욕망, 예술 후원의 경제학, 그리고 진작과 위작을 가르는 가치 기준까지, 르네상스 예술을 둘러싼 모든 장면을 섬세하게 들여다본 ‘현장 보고서’다.
이 책은 주로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을 다루지만, 작품뿐만 아니라 시대의 분위기와 사람들의 이야기도 함께 담아낸다. 우선 저자는 이탈리아 르네상스가 시작된 피렌체의 사회 문화적 분위기를 살펴보며, 예술 발전의 원동력이었던 ‘비교와 경쟁’의 문화, 그리고 코시모 데 메디치를 중심으로 예술 후원의 전통이 어떻게 도시의 문화적 기반을 만들어갔는지를 보여준다. 이어서 르네상스 예술이 추구한 목표와 그 흐름 속에서 예술의 패러다임을 바꾼 예술가들, 이를테면 회화에 최초로 원근법을 도입한 마사초,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현실을 창조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그리고 초상화에 개인의 내면과 심리까지 담아낸 조르조네를 조명한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우리의 시선에서 새롭게 발견되고 재평가된 작품과 작가들을 살펴본다. 미완성작으로 오랫동안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미켈란젤로의 <론다니니 피에타>, 시대를 앞서간 여성 화가 아르테미시아가 그 주인공이다. 책의 말미에는 위작에서 진작으로 복권된 작품들의 사례를 다루며, 예술품의 진위 판별과 가치 기준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이 책은 작품이 놓인 그 자리에서 작품을 감상하며, 자기만의 미술사를 탐험해온 저자가 미술사에서 새롭게 밝혀진 흥미진진한 사실과 자신이 오감으로 체험한 미술 이야기를 다정하게 들려준다. 미술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는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게 될 것이다.
“이 책은 5, 6백 년 전의 작품과 사건을 다루지만, 나의 바람은 단순히 미술사적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지 않다.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이 작품을 마주할 때 그 시대의 상황과 예술가의 마음을 지금 우리의 삶에 비추어보는 것, 그래서 몇 세기를 가뿐히 뛰어넘어 그들이 우리 곁에 살아 있는 듯 가까이 느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기쁠 것이다.” (저자의 말)
저자 임남희
런던에 거주하며 세계 곳곳의 미술관을 찾아다니는 ‘현장형 미술 탐험가’.
이화여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MBA 과정을 마친 뒤 글로벌 제약회사의 마케팅 일을 했다. 현재는 바이오스타트업 회사들의 커머셜 분야 자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삼십 대 후반 브뤼셀에 주재하던 시절, 바쁜 일상 속에서도 주말마다 미술관을 순례하며 미술에 대한 안목을 키웠다. 런던으로 활동 거점을 옮긴 뒤에는 옥스퍼드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을 비롯해 런던 내셔널 갤러리, 월리스 컬렉션 등 주요 미술관의 강좌와 세미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미술사의 현안을 놓치지 않으려 애썼다. 또한 자신만의 미술사 저장고를 만들고자 미술 관련 블로그를 운영하며, 비슷한 관심을 가진 이웃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현재 피터 험프리의 저서 『르네상스 베네치아 회화Painting in Renaissance Venice』의 번역 출간을 준비하고 있으며, 영국의 대저택에 소장된 미술 작품들을 중심으로 미술사와 미술품 수집가들의 세계를 탐구하는 새로운 여정을 이어갈 예정이다.
인스타그램 @namhee_lim 블로그 https://blog.naver.com/nhl
서병철 기자 bcsuh@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