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 날’(11월 22일)을 기념한 ‘2025 제3회 대한민국 김치대전’이 22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성대하게 펼쳐졌다.사진은 ‘2025 제3회 대한민국 김치대전’ 전경.(사진=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김치의 날’(11월 22일)을 기념한 ‘2025 제3회 대한민국 김치대전’이 22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성대하게 펼쳐졌다.
광주문화방송 창사 61주년 특별기획으로 추진된 이번 행사는 광주문화방송이 주최하고 광주광역시·전라남도·광주 동구청·광주 사회복지공동모금회·광주광역시 사회복지협의회 등이 공동 주관해 한국 발효문화를 세계로 확산시키는 중심축 역할을 했다.
올해 김치대전의 주제는 “김치버스 KimchiVerse; 풍·상·항·로(風·常·恒·路)”로, 김치를 매개로 세계와 미래를 잇는 문화 확장을 표방했다. 특히 공동체의 뿌리 역할을 해온 김장 문화의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조명하며 축제의 의미를 더했다. 광주·목포·여수MBC 3사는 TV와 유튜브로 현장을 글로벌 생중계해 전 세계 시청자들이 행사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했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법정기념일인 11월 22일을 상징하는 ‘1122명 시민의 만 포기 김장’이었다.
‘김치의 날’(11월 22일)을 기념한 ‘2025 제3회 대한민국 김치대전’이 22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성대하게 펼쳐졌다.사진은 ‘2025 제3회 대한민국 김치대전’ 에서 김장김치를 버무르고 있는 지원봉사자들 모습.(사진=송상교기자)
절임배추 4.6kg 기준 총 4200상자가 투입된 대형 행사로, 지역사회의 연대와 나눔을 담아 완성된 김치는 취약계층 이웃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김치의 날(11월22일)은 ‘김치 재료 11가지가 모여 22가지 효능을 낸다’는 의미에서 2020년 법정기념일로 제정되었으며, 현재 미국 5개 주에서도 공식 기념일로 운영되며 김치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이날 행사장에서 담양 특산물 홍보에 직접 나선 담양군 정철원 군수는 부스를 순회하며 시민들과 소통했고, 김장 체험에도 함께 참여했다.
‘김치의 날’(11월 22일)을 기념한 ‘2025 제3회 대한민국 김치대전’이 22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성대하게 펼쳐졌다.사진은 ‘2025 제3회 대한민국 김치대전’ 에서 김장김치를 버무르고 있는 지자체장들 모습.(사진=송상교기자)
MBC 생방송 인터뷰에서 담양군 정철원 군수는 “김치의 깊은 맛은 장류에서 비롯됩니다. 담양 장류는 청정 자연 속 전통발효 방식으로 만들어 감칠맛과 풍미가 뛰어나다”며 “대한민국 발효문화의 정점은 김치이며, 그 뿌리는 어머니의 손맛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담양의 발효식품은 품질과 기술력 모두 세계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담양군 정철원 군수는 또한 “김치대전을 계기로 담양 농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이고 지역경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정책을 강화하겠다”며 “농업의 미래는 단순 생산을 넘어 발효식품·관광·브랜드 산업으로 확장돼야 하며, 담양이 그 변화의 선도 도시가 되겠다”고 말했다.
올해 김치대전은 단순한 음식 축제를 넘어 한국 발효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는 앞으로도 김장 문화 보존, 김치산업 경쟁력 강화, 발효문화 콘텐츠 확장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김치대전 #2025김치대전 #김치버스 #김치버스KimchiVerse #김치의날 #1122김장 #광주518민주광장 #정철원군수 #담양장류 #K김치 #발효문화 #광주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