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교육청은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노동조합’)의 11월 21일 (금) 총파업 예고와 관련, 파업으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와 학부모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 총력 대응 체제를 가동했다.전남교육청은 총파업 예고에 따라 본청 및 전 교육지원청에 파업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현장의 주요 현안 사항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긴급 대응팀을 구성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이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예고한 11월 21일 총파업에 대비해 학생들의 학습권을 지키고 학부모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종합 대응 체계를 전면 가동했다.
전라남도교육청은 본청과 모든 교육지원청에 파업대책 상황실을 설치하고, 학교 현장을 실시간 지원하는 비상 대응 체제로 전환했다.
전라남도교육청은 파업으로 인해 가장 큰 혼란이 발생할 수 있는 급식·돌봄·특수교육 분야의 안정적 운영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 학교별 파업 참여 인력을 면밀히 파악해 단축수업, 대체급식(빵·우유·간편식), 도시락 지참 안내 등 학생 영양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부 방안을 마련했다.
초등돌봄교실은 내부 인력을 활용해 공백을 최소화하고, 필요 시 돌봄 수요에 따라 탄력적 운영을 실시하도록 조치했다. 특수교육 역시 학생과 학부모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별 비상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단축수업 등 탄력적 대응 방안도 마련했다.
전라남도교육청은 파업 대응의 일관된 기준 마련을 위해 ‘교육공무직원 파업 대응 매뉴얼’을 모든 학교에 배포하고, 행정·보건 등 학교 운영 핵심 업무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본청·교육지원청 상황실을 통해 수시로 현장을 지원하고 있다.
전라남도교육청 관계자는 “노동자의 쟁의권은 존중하지만 학생들의 학습권과 안전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며 “정부와 시도교육청은 요구사항에 대한 진정성 있는 교섭을 이어가고 있으며, 노동조합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직접 피해가 발생하는 파업 계획을 철회해 줄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교육청 #교육공무직 #총파업대비 #학습권보호 #대체급식 #돌봄교실 #특수교육 #전남교육 #비상대응 #학교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