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문화재단은 오는 24일 오후 1시 30분, 광주 남구 빛고을아트스페이스 소공연장에서 ‘문화예술의 내일을 고민하는 ESG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상생’이라는 대주제 아래, ‘후원문화와 예술경험’을 키워드로 문화예술 분야의 지속가능한 협력 구조와 후원문화 확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문화재단이 문화예술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 구조를 모색하기 위한 ‘문화예술 ESG 포럼’을 오는 24일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주 남구 빛고을아트스페이스 소공연장에서 열리며, 민‧관‧기업‧지역이 함께 상생하는 후원문화와 문화예술 협력 모델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포럼은 ‘상생’을 핵심 주제로 문화예술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다양한 협력 전략이 집중 논의된다. 행사는 주제세션과 환경·사회·거버넌스(ESG)로 구성된 집중세션으로 운영되며, 후원문화의 변화, ESG 기반 예술경험 확대, 지역 공동체 연대와 협력의 방향성을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주제세션의 첫 발표는 다음세대재단 방대욱 대표가 맡아 ‘협력의 필요와 조건’을 주제로 문화예술계의 협력 구조를 되짚는다. 이어 김민지 광주문화재단 ESG경영위원이 ‘지속 가능한 문화예술을 위한 민관협력’을 발표하고, 해민영 MYSC CAO가 ‘로컬에서 가능한 다양한 협력방안’을 사례 중심으로 제시한다. 발표 이후에는 김도일 광주문화재단 ESG경영위원의 사회로 발표자 대담이 이어져 협력의 실제적 가능성을 논의한다.
환경 분야 집중세션에서는 ‘인간과 비인간 공생’을 주제로 기후위기 시대의 공존 전략이 제시된다. 노고운 교수(전남대 문화인류고고학과), 김준택 교수(전남대 건축디자인학과)가 발제하며, 지역 기획자인 김옥진·정현우(1995Hz)가 현장 사례를 공유한다.
사회 분야 세션에서는 한국 문화예술 후원문화의 변화 흐름과 새로운 협력 방식이 소개된다. 서울문화재단 기업 협력 사례, GS칼텍스재단의 새로운 민관협력 모델, 양림골목비엔날레의 지역 연대 사례 등 다양한 후원문화 방식이 공유된다.
거버넌스 분야에서는 서울 ‘예술청’ 운영 사례와 지역 협력 구조가 소개되며, ‘광주형 청년문화 거버넌스’를 주제로 청년들의 현장 의견도 수렴된다. 광주문화재단은 이를 기반으로 지역 문화정책의 미래 방향을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광주문화재단 배동환 사무처장은 “문화예술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민간·공공·지역 공동체의 협력구조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포럼이 광주 문화예술 생태계를 더욱 튼튼하게 만드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포럼은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포스터 QR코드 또는 광주문화재단 누리집을 통해 사전 신청할 수 있다. 현장 접수도 가능하다.
한편 광주문화재단은 11월 ‘ESG문화주간’을 운영하며 지역 서점 7곳과 함께 ‘책 사줄게! 책 나눌게!’ ESG캠페인을 진행 중이며, 포럼 당일 나주문화재단과 ‘문화행정가 라운드테이블’을 열어 광주–전남 초광역 협력 확대도 논의할 계획이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문화재단 #ESG포럼 #문화예술ESG #후원문화 #민관협력 #광주예술 #문화행정 #빛고을아트스페이스 #문화예술상생 #지속가능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