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19일부터 21일까지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에 참가, 광주홍보관을 운영하며 ‘인공지능(AI) 중심도시 광주’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사진은 지방시대 엑스포 광주전시관 전경.[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광역시가 인공지능(AI) 기반 미래도시의 청사진을 전국에 공유했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19일부터 21일까지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에 참가해 광주홍보관을 운영하며 AI 산업·미래전략·생활혁신 정책을 종합적으로 소개했다"고 밝혔다.
지방시대 엑스포는 중앙부처, 공공기관, 17개 시도 및 교육청이 참여해 지역균형발전과 지방자치의 성과를 논의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지방정책 박람회다.
광주홍보관은 ‘포용과 혁신의 도시, AI로 여는 미래 광주’를 주제로 기획돼 관람객들에게 광주형 AI·도시혁신 모델을 전달했다.
광주광역시는 특히 지역 AI 산업의 핵심 인프라인 AX(AI Transformation) 실증밸리 구축 사례를 집중 소개했다.
AX 실증밸리는 모빌리티·에너지 등 지역 전략산업의 AI 전환을 촉진하고, 시민과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광주형 모두의 AI’ 기반을 조성하는 핵심 사업으로, AI 기술을 접목한 도시·생활 혁신기술 실증이 이뤄지고 있다.
이와 함께 AI 모빌리티 산업도 비전의 핵심으로 제시됐다. AI 센서, 차량 제어기술, 주행 데이터 분석 등 첨단 기술을 결합한 미래 교통혁신 모델로, 광주는 AI 모빌리티 분야에서 국내 선도 도시로 주목받고 있다.
광주홍보관은 체험형 콘텐츠도 마련해 관람객의 관심을 끌었다. AI 기반 미디어아트 제작 체험, AI 인바디 측정을 통한 체형 분석, 맞춤형 건강 솔루션 제공 등 시민들이 직접 AI 기술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광주형 생활정책도 주요 전시 콘텐츠로 소개됐다. 광주다움 통합돌봄, 공공심야어린이병원,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등 시민 체감도가 높은 ‘광주다움 정책’은 도시의 포용성과 혁신을 강조한 대표 사례로 주목받았다. 특히 ‘광주다움 통합돌봄’은 행정안전부가 선정한 기본사회 우수사례로 인정받아 기본사회전시관에도 별도 전시됐다.
엑스포에서는 광주·전남의 공동 비전인 호남권 메가시티 전략도 공유됐다. 지난 8월 출범한 특별광역연합을 기반으로 ‘광주-나주 광역철도’ 사업 비전과 초광역 경제동맹 전략을 소개하며 지역 주도 균형발전의 미래를 제시했다.
광주광역시는 ‘2025년도 지역균형발전 및 시행계획 우수사례’에 선정돼 기관 표창을 수상하는 성과도 거뒀다. 또한 광주는 5·18정신을 헌법에 명문화하기 위한 ‘5·18 헌법전문 개정’ 포토존을 조성해 민주주의 가치 공감을 이끌었다.
광주광역시는 이번 엑스포를 통해 광주형 정책 모델과 AI 기반 미래전략을 전국에 확산시키고, 대한민국 지역균형발전의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 #지방시대엑스포 #AI도시광주 #AX실증밸리 #AIMobility #광주다움 #통합돌봄 #심야어린이병원 #10시출근제 #호남권메가시티 #지역균형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