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도시철도 2호선 1단계(시청~광주역) 구간 개통시기를 2027년 말로 조정해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19일 이 같은 계획 변경을 공식 발표하며 “예상치 못한 지반 여건 변화와 극한 호우 등 시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변수들을 고려한 필수적 조정”이라고 밝혔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시청~광주역)의 개통 목표를 기존보다 1년 늦춘 2027년 말로 조정했다.
광주광역시는 19일 이 같은 계획 변경을 공식 발표하며 “예상치 못한 지반 여건 변화와 극한 호우 등 시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변수들을 고려한 필수적 조정”이라고 밝혔다.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공사는 당초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진행됐으나, 실제 굴착 과정에서 설계 시점에서는 파악되지 않았던 암반 증가와 지장물 다량 발견이 이어졌다. 지장물은 당초 설계 대비 1.8배, 암반은 1.4배 증가하며 공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지난 7~8월에는 하루 최대 426㎜에 달하는 극한 폭우가 발생해 정거장 구간 전체가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광주시는 이 같은 환경적 요인들을 종합 분석해 공정 계획을 다시 검토한 결과 기존 일정의 개통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했다.
광주광역시는 토목 공정 이후 이어지는 건축, 전기·신호·통신, 소방 등 10개 분야 공정을 통합 분석한 결과 2027년 말 개통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현재 토목 공정률은 95.2%로, 시는 2026년 말까지 모든 공사를 완료하고 이후 약 1년간 시운전을 진행할 계획이다.
시운전은 철도안전법 및 철도종합시험운행 지침에 따른 의무 절차로, 철도시설의 안전성과 열차 운행 적정성을 확인해야 개통이 가능하다. 시는 시운전 기간 동안 안전 요소들을 면밀히 검증해 시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노선을 완성하겠다는 방침이다.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 오영걸 본부장은 “지장물과 암반 증가, 극한 호우 등 불가피한 요인들이 누적돼 부득이하게 개통 일정이 조정됐다”며 “도로 개방은 당초 계획대로 추진하고, 남은 공정은 분야별 연계를 강화해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2027년 말 개통을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 #광주도시철도 #광주도시철도2호선 #2호선1단계 #공정지연 #지반변화 #극한호우 #시운전 #철도안전 #광주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