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일본 총리/산케이신문


[시사의창=원광연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독도 언급’ 발언 이후 시간이 꽤 흘렀지만, 일본 정부의 반발 기류는 오히려 더욱 거세지고 있다. 도쿄 정부는 발언 직후뿐만 아니라 여전히 연일 외교적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으며, 중국을 향한 강경 메시지를 거듭 내놓고 있다.

일본 외무성은 시진핑의 발언 이후 긴급 성명을 통해 “독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역사적·국제법적 사실에 변함이 없다”며 “중국의 발언은 명백한 내정간섭이며, 동북아의 불안을 조장하는 무책임한 행위”라고 규정했다.

이후 일본 정부는 주일 중국대사를 초치해 항의했고, 기시다 후미오 총리 역시 국회 질의응답에서 “타국 간 영토 문제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중국의 행위는 용납할 수 없다”고 직접 발언하며 대응 강도를 높였다.

시간이 지나며 진정될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일본 내부에서는 자위대의 역할 확대, 방위예산 증액, 미일동맹 강화 등을 본격화하는 명분으로 시진핑의 발언을 적극 활용하는 분위기다. 자민당 일부 강경파 의원들은 “중국이 역사 문제를 빌미로 한일 간 균열을 유도하고 있다”며 ‘전략적 대응’을 내세우고 있다.

일본 주요 언론들도 일제히 중국의 의도를 분석하며 논조를 강화했다. 니혼게이자이는 “중국이 동북아 전략 재편을 위해 한일 역사갈등을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했고, 요미우리는 “한중 관계 복원을 미일동맹의 견제 카드로 활용하려는 포석”이라고 평가했다.

산케이신문은 “한국이 중국 발언에 침묵하거나 묵인하는 모양새는 한일관계에 새로운 긴장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아사히신문 등 일부 언론은 “일본이 지나치게 강경하게 반응할 경우, 동북아 외교의 신뢰 기반을 오히려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실제로 일본 내부에서도 일부 외교관 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중국의 의도는 일본 내 반응의 과잉을 유도하는 측면이 있다”며 “한국을 자극하지 않고 냉정한 대중 견제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국은 여전히 이번 발언의 해석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동북아 전략 전환의 일환이라는 해석이 유력하다. 특히 중국은 독도 문제를 언급함으로써 일본의 역사 문제를 다시 공론화하고, 동시에 한국과의 관계 복원 가능성도 열어두는 이중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결국 일본의 지속적인 반발은 단지 시진핑의 발언에 대한 대응을 넘어서, 중국 견제 구도를 자국 안보전략 전반에 편입하려는 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그만큼 이번 독도 발언의 외교적 파장은 당분간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한국은 이 격랑 속에서 더욱 정교한 외교적 균형 감각이 요구되는 시점에 놓이게 됐다.

원광연 기자 winad@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