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 제3기 청년정책협의체 위원 모집 / 부안군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부안군이 청년을 ‘정책의 소비자’에서 ‘정책의 생산자’로 전환시키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 번 드러냈다. 군은 오는 12월 1일까지 제3기 청년정책협의체 위원을 공개 모집하며, 그 어느 때보다 단호하고 실질적인 청년 참여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을 군정 전면에 내걸었다.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단위에서 이 정도의 참여 플랫폼을 정례화해 운영하는 지자체는 많지 않다는 점에서, 이번 공모는 지역 행정의 체질을 바꾸는 현장 실험에 가깝다.

청년정책협의체는 부안군 청년 기본 조례를 근거로 한 ‘순수 청년 참여기구’로, 형식적 자문기구의 틀을 벗어나 청년 의견수렴, 정책 모니터링, 의제 발굴·제안 등 실무적 기능을 수행해온 조직이다. 관 주도의 일방향 정책 결정이 아니라, 실제로 정책 대상자인 청년이 직접 현장의 불편과 요구를 군정에 투입하는 구조를 만들어왔다는 점에서 그 존재감은 작지 않았다. 이번 3기 위원 공모는 이러한 구조를 더욱 공고히 하고, 군정의 의사결정 단계에 청년의 판단을 놓겠다는 부안군의 의지 표명으로 읽힌다.

모집 대상은 부안군에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18세~45세 청년이다. 나이 기준만 충족하면 특정 직업군이나 활동 경력이 없어도 지원할 수 있도록 문을 넓혔다는 점이 눈에 띈다. 청년정책에 관심이 있거나 지역 활동의지가 있는 청년이라면 누구든지 참여할 수 있게 해 “정책은 전문가만의 영역”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려는 시도로 보인다. 모집 인원은 30명 이내로, 선정된 위원들은 일자리·주거복지·문화예술·참여권리 등 4개 분과에서 활동하게 된다. 행정이 보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분과별로 수집하고 정제해 군정 의사결정 라인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구조다.

위원 임기는 2026년 위촉일부터 2027년 12월 31일까지이며, 해당 기간 동안 청년정책 제안은 물론 관내·외 청년단체와의 교류 등 다양한 실무 활동이 예정돼 있다. 단순한 회의체가 아닌 ‘기능조직’으로 역할을 요구하는 만큼, 해당 협의체는 향후 부안군 청년정책의 명운을 좌우하는 실질적 거버넌스 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신청 절차는 간단하다. 부안군청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뒤 구비서류와 함께 이메일(rlaag0423@korea.kr)로 제출하면 된다. 이후 서류심사와 면접심사를 거쳐 최종 위원이 확정된다. 행정 접근성을 낮추고 청년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한 조치로 평가된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청년정책협의체는 군정에 청년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는 핵심 통로”라며 “많은 청년들이 참여해 지역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격려 이상의 메시지다. 군수가 직접 나서서 협의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것은 부안군이 청년정책을 ‘미래투자 사업’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뜻이며, 앞으로 군정 전반에서 청년 의견 반영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전북특별자치도 전반에서 청년 유출은 구조적 위기다. 그 실타래를 지역 내부에서 먼저 풀어보겠다는 부안군의 이번 행보는 단순한 정책 공모가 아니라 지방소멸 시대의 생존 실험이다. 청년이 떠나는 지역은 사라지고, 청년이 기여하는 지역은 살아남는다. 이제 공은 지역 청년들에게 넘어갔다. 참여 의지가 있는 청년이라면 지금이 지역의 미래를 자신이 설계할 기회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부안군 #청년 #정책의소비자 #정책의생산자 #청년정책협의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