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동·서구 통합건강센터에 총 334명(10월31일 기준)이 등록해 정기 관리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이 가운데 71%인 235명은 65세 이상 어르신으로, 통합건강센터가 고령층의 ‘건강 돌보미’로 자리잡고 있다. 사진은 강기정 시장이 10월16일 이용자 중심의 원스톱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구 통합건강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시민 누구나 일상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건강 돌봄 도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통합건강센터 운영 확대, 사회적 처방 건강관리소 개소, 원스톱 응급의료플랫폼 도입, 공공심야어린이병원 운영 등 공공의료망 강화 정책이 본격적인 성과를 내며 시민 건강관리 체계가 새롭게 정착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동구·서구 통합건강센터에 10월 31일 기준 총 334명의 시민이 등록해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235명(71%)이 65세 이상 고령층으로, 통합건강센터가 어르신의 예방 중심 건강관리 거점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시는 지난 10월부터 동구·서구에서 통합건강센터를 시범 운영 중이며, 보건소와 복합커뮤니티센터 등 기존 시설을 활용해 센터 6곳을 운영하고 있다. 시범기간 평가를 거쳐 향후 자치구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통합건강센터는 기존에 각각 운영되던 보건소 건강서비스, 치매안심센터, 건강생활지원센터의 기능을 한 공간에 모아 통합건강평가, 치매검진, 정신건강 상담, 고혈압·당뇨관리, 영양·구강보건, 금연지원, 방문건강관리 등 예방 중심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한다.
광주형 건강돌봄 정책의 또 다른 핵심인 ‘사회적 처방 건강관리소’도 주목받고 있다. 지난 10월 31일 광산구 빛고을국민체육센터에 2호점이 문을 열며 시민의 건강·정서·사회적 관계를 통합 지원하는 기반이 확장되고 있다.
이와 함께 광주시가 자체 개발한 ‘원스톱 응급의료플랫폼’도 12월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환자의 중증도 분류, 응급실 병상 정보, 의료자원 현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해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문제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 취약시간대 소아 진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영 중인 공공심야어린이병원과 달빛어린이병원은 올해 이용자가 6만 명을 넘어섰다. 낮은 의료비와 신속한 응급 대응 체계로 시민 이용도가 꾸준히 증가하며 전국 선도 모델로 확산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공공보건의료과 강윤선 과장은 “광주형 건강돌봄 체계를 통해 ‘어디서나, 누구나, 건강하게’라는 목표를 실현하겠다”며 “시민의 건강한 일상을 위해 예방과 치료, 돌봄이 모두 연결되는 공공의료망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 #광주형건강돌봄 #통합건강센터 #사회적처방 #응급의료플랫폼 #공공심야어린이병원 #달빛어린이병원 #건강도시광주 #예방중심보건 #지역보건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