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의회 교육위원장 김정희 의원(더불어민주당, 순천3)은 11월 17일 열린 제395회 전라남도의회 제2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AI 데이터센터 유치 성과를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남형 협치’가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전라남도의회 김정희 교육위원장(더불어민주당·순천3)이 17일 열린 제395회 전라남도의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AI 데이터센터 유치 성과를 지역의 지속 가능한 성장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남형 협치’가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라남도의회 김정희 교육위원장은 “AI 데이터센터 유치는 전남의 미래를 여는 출발점이지만, 기술 인프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일자리, 교육, 주거, 생활 기반이 조화를 이루어야 사람이 머무는 전남이 된다”고 말했다.
특히 전라남도가 추진 중인 지방소멸대응기금 활용 정책, 전남형 만원주택 등 청년 정착 지원, 전라남도교육청의 농어촌 유학 프로그램, 2030 미래형 교실 구축 등을 언급하며, “기관별로 의미 있는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이를 하나의 흐름으로 묶어 시너지를 내는 전남형 협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전남은 AI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인 전력·부지·재생에너지 기반을 이미 확보하고 있고, GPU 수급 확대 등 AI 산업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점에서 사람 중심의 정책 전략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정희 교육위원장은 “전남이 앞으로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실제로 돌아와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교육 등 삶의 기반을 차근차근 마련해야 한다”며 “이러한 변화를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 바로 협치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그는 “도의회도 정책 간 조정과 연결의 중심축으로서 협치 모델이 실질적으로 자리 잡도록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의회 #김정희도의원 #교육위원장 #AI데이터센터 #전남형협치 #전남정책 #청년정착 #교육환경개선 #2030미래교실 #농어촌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