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 환경교육 강사양성 기초과정 수료식 / 부안군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이 환경교육 강사 양성 기초과정을 공식 마무리하며 지역 탄소중립 실행력 강화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부안군과 부안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공동으로 추진한 이번 프로그램은 ‘환경교육 전문 인력’을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첫 단계로, 그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다. 탄소중립은 정부가 강조하는 국가적 과제이자 지방정부에게는 생존 전략과도 같은 당면 목표다. 부안군이 이 과제를 지역 내부의 인재로 해결하겠다는 점에서 정책적 진화가 감지된다.
이번 기초과정은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부안군 상생협력센터’에서 충실하게 진행됐다. 만 20세 이상의 부안군민을 대상으로 공개 모집해 21명을 선발했고, 이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자원순환, 생태계 보전 등 환경 핵심 아젠다를 집중 교육했다. 단순한 이론 전달식 강의가 아니라 교육계획안 작성, 강의 시연 등 실전형 커리큘럼을 적용해 실제 현장에서 강사로 바로 투입할 수 있을 만큼 실무적 완성도를 갖추도록 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장식적 교육이 아니라 ‘현장에서 곧장 쓰일 수 있는 강사’를 만들겠다는 부안군의 의지가 이번 프로그램 전반에 녹아 있었다. 특히 교육생 전원이 자신만의 교육안을 직접 설계하고 즉석 강의를 시연한 과정은, 향후 환경교육의 표준화를 넘어 지역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교육 콘텐츠 생산의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송희복 부안지속가능발전협의회 대표는 “지역 사회의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행동을 촉진하는 주체가 바로 이들 강사들”이라고 강조하며, 수료생들에게 부안군 환경교육 확산의 선봉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단순한 격려가 아니다. 지역의 탄소중립 정책과 환경 인식 개선 활동은 결국 지역 주민에게 다가갈 수 있는 강사의 전문성과 실행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현실적 판단이 깔려 있다.
수료생 최문희 씨 역시 “이번 교육은 실제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실전형 교수법을 배울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다”며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에 적극적 인식 교육을 실천할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는 프로그램의 방향성이 교육생들에게 명확하게 전달됐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교육을 수료한 시민이 단순 프로그램 참여자가 아닌 ‘지역 환경정책의 실행 주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과정의 성공 가능성은 더 커졌다.
부안군은 이번 기초과정을 시작으로 곧 심화과정을 개설해 전문 강사 양성 체계를 확실하게 공고히 하겠다는 방침이다. 강사 풀(pool)을 확대하고, 이들이 다양한 기관·학교·단체에서 환경교육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부안군 전역에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확산하겠다는 전략이다. 지역 내 탄소중립 실천의 저변을 넓히기 위한 ‘현장 중심·인력 중심’ 정책은 그동안의 선언적 환경정책에서 벗어난 실질적 전환이다.
지방정부의 환경정책은 더 이상 슬로건으로 존재할 수 없다. 기후 위기는 현실이고, 이를 해결할 일선 인력 없이는 어떠한 전략도 공허하다. 그런 점에서 부안군이 이번에 배출한 21명의 환경교육 강사는 단지 한 프로그램의 수료생이 아니라, 지역 환경정책의 미래를 떠받칠 ‘최전선 인력’이다. 앞으로 부안군이 이들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생태계를 어떻게 확장해 나갈지가 지역 정책의 성패를 가를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부안군 #환경강사 #부안지속가능발전협의회 #탄소중립 #지방정부 #환경정책 #부안군상생협력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