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경기도가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을 운영하며 대설·한파에 대비한 선제 대응에 돌입한다. 도는 이례적 대설과 극한 한파 반복 가능성에 대비해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종합대책을 수립·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제설전진기기 모습(경기도 제공)


도는 현장 중심 대응력 강화, 제설역량 확충, 통제·대피 체계화, 복구지원 체감도 제고, 취약계층 보호 및 한파 저감시설 확대 등으로 대책을 구성했다. 특보 이하 예보 단계에서도 ‘비상대비’ 근무를 가동하고, 시군 비상1단계 발령 시 시군 본청 공무원 3,400여 명을 읍·면·동 현장에 직접 투입한다.​

‘경기도 360° 스마트 영상센터’를 활용해 시군 CCTV 18만여 대로 적설 실황과 제설 상황을 즉시 파악,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재해우려지역 1,500여 곳은 유형별 중점 모니터링 체계를 적용해 현장 맞춤형으로 대응한다.​

제설 역량은 물량과 장비를 대폭 보강했다. 2025년 11월 현재 제설제는 전년 대비 43% 증가한 21.4만 톤, 제설장비는 39% 늘어난 8,800여 대를 확보했다. 강설 집중 지역에는 2시간 내 직접 지원 가능한 제설제 1만 톤을 별도 비축하고, 광역 비축창고도 운영한다.​

인명피해 ‘제로화’를 목표로 통제·대피를 단계화한다. 기상특보와 연계한 안전안내문자를 강화하고, 적설량별로 대피준비→대피권고→대피명령을 시행한다. 주거용 비닐하우스, 전통시장, 축사 등 적설 취약 구조물 18종은 시군 합동 일제점검을 진행 중이다.​

피해 복구의 체감도도 높인다. 올해 신설된 ‘특별지원구역’ 제도를 활용해 실질 피해가 큰 시군에 대한 복구비 지원을 확대하고, ‘일상회복지원금’을 가동해 이례적 기상현상 시 도비를 추가 투입한다.​

한파 취약계층 보호도 병행한다. 한파쉼터는 전년 7,934곳에서 28곳 늘린 7,962곳으로 확대하고, 난방기 점검·수리와 함께 방풍시설·온열의자 등 한파 저감시설을 8,052개에서 8,476개로 424개 확충했다. 노숙인 순찰은 야간 포함 일 1~3회 실시하고, 취약 노인 6만7천 명 대상 전담인력 4,600명이 안전확인을 수행하며 기후보험을 통해 한랭질환 진단비 지원도 제공한다.​

도는 G버스 TV, 아파트 미디어보드 등 생활밀착형 매체로 국민행동요령 홍보를 상시 추진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겨울철 대설과 한파에도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며 현장 관리와 피해 예방에 만전을 당부했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경기도 #겨울철자연재난 #대설대비 #한파대비 #과잉대응 #제설제 #CCTV #취약계층보호 #한파쉼터 #일상회복지원금 #특별지원구역 #스마트영상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