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경기도가 화성·평택의 부품 거점과 성남 판교의 소프트웨어 거점을 축으로 첨단 자동차(모빌리티) 클러스터를 구축하며 미래차 혁신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지역특화 프로젝트 선정으로 31개 기업을 대상으로 7개 정책에 총 94억3천만 원을 지원하고,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를 내년 5월 준공할 계획이다.
성장 VISION 경기도 인포그래픽(경기도 제공)
도는 첨단자동차 밸류체인 구축, 지역특화 프로젝트, 친환경차 진입지원 등 세 축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화성·평택을 미래차 부품 산업 거점으로, 판교를 차량 소프트웨어 거점으로 설정해 연구·기업·시험 인프라를 연계한다는 구상이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도내 자동차 사업체는 화성 327개, 시흥 116개, 안산 112개, 평택 104개 등으로 집적돼 있다. 이 가운데 화성(현대차그룹 남양연구소, 기아 오토랜드)과 평택(KG모빌리티)은 완성차·부품 기업 기반을 바탕으로 미래차 부품 중심지로 육성된다.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는 연면적 6,348㎡, 지하 4층~지상 7층 규모의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가 조성 중이다. 허브에는 스타트업·연구기관 입주공간과 자율주행차 테스트베드, 전문인력 양성시설을 갖추며, 차량 소프트웨어 중심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지역특화 프로젝트는 내연기관 중심 기업의 전기·수소차 전환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도는 지난해 28개사를 선정해 혁신바우처, 정책자금, 스마트공장 솔루션 등 5개 정책을 지원했고, 올해 3개사를 추가해 총 31개사에 94억3천만 원을 투입했다.
친환경차 진입지원 사업도 병행된다. 2024년부터 사업화 과제 20개사, 부품개발 인력양성 417명이 참여 중이며, 대미 관세 부과에 대응해 수출기업의 해외규격 인증과 신뢰성 평가 비용을 지원한다.
도는 이와 함께 친환경차 보급과 충전·수소 등 기반시설 확충을 추진한다. 자율주행 실증단지와 ‘판타G 버스’ 운영, 국토부 UAM 실증 버티포트(고양 킨텍스) 조성, 평택 수소 생산&교통복합기지 준공, 수소도시(안산·남양주·평택·양주) 및 미니 수소도시(용인) 조성 계획도 진행 중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 미래모빌리티 페스타’에서 모빌리티 분야 국가 R&D 투자 71%와 연구인력 62%가 경기도에 집중돼 있다고 강조했다. 도는 거점별 역할 분담과 실증-사업화 연계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미래차 클러스터 완성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경기도 #미래차 #모빌리티클러스터 #판교테크노밸리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 #자율주행 #전기차 #수소차 #중소벤처기업부 #지역특화프로젝트 #친환경차 #R&D #수소도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