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조인철 국회의원이 11일(화)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주최한 ‘K-AI 리터러시 미래교육포럼’이 교육 현장의 전문가들이 두루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이번 포럼은 한국 AI 리터러시 교육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우리사회의 AI 리터러시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릴 교육모델을 모색하기 위해서 마련되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조인철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서구갑)이 주최한 ‘K-AI 리터러시 미래교육포럼’이 11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한국의 AI 리터러시 교육 수준을 진단하고 민·관 협력을 통한 국가 차원의 교육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된 자리로,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스타트업, 교육청 관계자, 교사, 청소년 재단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주제 발표에서는 유재연 한양대 교수(국가인공지능위원회 사회분과장)이 ‘한국 AI 리터러시 교육의 현주소와 과제’를,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가 ‘AI 리터러시 교육 로드맵’을 발표했다.

유재연 교수는 “한국의 AI 리터러시 수준은 OECD 평균 대비 27% 낮고, 교사 연수 이수율은 12%에 불과한 반면 수도권 집중도는 74%에 달한다”며 “AI 활용과 비판적 사고를 병행할 수 있는 균형 잡힌 교육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한 “AI 리터러시 국가표준 수립과 교원 연수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 실행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이세영 뤼튼 대표는 “2000년대 초 정보화정책이 IT강국의 토대가 되었듯, 지금은 AI시대 도약의 골든타임”이라며 “민·관이 함께 전 국민 AI 리터러시 교육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열린 토론에서는 전국 교육청 관계자와 청소년재단, 교사 등 30여 명의 현장 전문가가 AI 교육의 실질적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경북교육청 육하윤 장학관은 “단기 사업 중심의 예산에서 벗어나 장기적 투자계획과 상시 교원 연수 체계가 필요하다”고 했으며, 오창석 삼척초 교사는 “AI 리터러시 지도교사 인증제를 도입해 교원 전문성을 공식 인증하고 실질적 동기부여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인철 국회의원은 “AI 기술은 지능집약적 분야에서 격차를 키울 수 있는 양날의 검”이라며, “민간의 혁신과 공공의 제도적 지원이 유기적으로 결합해 모두의 리터러시 역량을 키우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조인철국회의원 #KAI리터러시 #AI교육 #국가AI위원회 #뤼튼테크놀로지스 #AI정책 #디지털리터러시 #AI포럼 #미래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