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경기도가 ‘판교+20 벤처스타트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을 통해 올해까지 스타트업 창업공간 3,356개를 확보하며 당초 2026년 목표치 3,000개를 1년 앞서 초과 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판교+20’은 2026년까지 도 전역에 총 20만 평(66만㎡) 규모 창업공간을 조성해 3,000개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민선 8기 핵심 전략으로, 경기도는 내년까지 누적 3,768개 창업공간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

경기도가 준비한 미래 VISION 인포그래픽(경기도 제공)


도는 2023년부터 단계적으로 창업공간을 확충해 ▲2023년 12만 990평(1,540개) ▲2024년 4만 9,200평(1,380개) ▲2025년 1만 6,364평(436개)를 조성, 총 3,356개 입주공간을 확보했다. 핵심 거점인 제2판교에는 기업 주도로 15만 평(49만 5,000㎡) 규모의 벤처스타트업 공간을 조성해 2,000여 개 스타트업을 수용 중이며, 제1판교에는 1만 1,000평(3만 3,000㎡) 규모에 300개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있다.​

제2판교 G2블록의 ‘경기스타트업브릿지’는 전용면적 약 1,700평(5,787㎡) 규모 창업 전주기 지원 복합공간으로, 올해 9월부터 200개 스타트업과 20개 지원기관이 입주를 시작했다. 입주기업에는 무상 사무공간과 함께 대·중견기업 협업, 투자유치설명회(IR), 멘토링 등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이 제공된다.​

8개 권역별 지역거점에는 3만 9,000평(12만 8,706㎡), 1,468개 규모(2026년 목표치 포함)의 26개 창업공간(거점형 8개, 지정형 18개)이 구축됐다. 거점형 창업혁신공간은 하남(동부권), 안양(남서부권), 부천(서부권), 고양(북서부권), 구리(북동부권), 의정부(북부권), 성남(남동부권), 수원(남부권, 조성 중)에 마련됐고, 지정형 공간은 동국대 BMC 창업보육센터(고양), 동탄인큐베이팅센터(화성) 등 18개가 운영 중으로 내년 추가 지정을 검토 중이다.​

경기도는 공간 확장과 함께 창업 생태계 연결 강화를 위해 올해 2월 스타트업과 선도기업 등 500개사가 참여하는 ‘경기 스타트업 협의회’를 출범, 네트워킹·협업을 통한 ‘기회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경기 스타트업 서밋(G-SUMMIT)’의 매년 개최, 해외 진출 프로그램 및 청년창업체험단 국제 전시·박람회 참가 지원 등 실질적 해외 경험 기회도 확대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10월 22일 ‘경기스타트업브릿지’ 개소식에서 “스타트업 천국, 제3의 벤처붐을 만들고자 한다”며 경기도에서 시작되는 대한민국 경제 도약 의지를 재확인했다. 도는 내년까지 창업공간 누적 3,768개 달성과 함께 투자유치 플랫폼 고도화, 권역 거점 추가 지정 등을 통해 민간주도 혁신 생태계 정착을 과제로 제시했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경기도 #판교플러스20 #스타트업 #벤처클러스터 #창업공간 #경기스타트업브릿지 #G_SUMMIT #김동연 #창업생태계 #제2판교 #지역거점 #유니콘 #투자유치 #네트워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