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이믿음기자] ‘역사마을 1번지’ 광주 고려인마을 산하 고려인문화관(관장 김병학)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뿌리를 재조명하는 ‘한글문학 기획전’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일제강점기와 스탈린 강제이주라는 비극의 시대를 거치며, 중앙아시아 각지에서 한글로 문학을 이어간 고려인 1-2세대 작가들의 삶과 작품세계를 한자리에 모은 뜻깊은 자리다.
특히 고려인 소설가이자 극작가 김기철(필명 북촌, 1907-1993)의 희곡과 소설 원고는 관람객들의 시선을 단숨에 사로잡는다. 김기철은 1937년 강제이주 후, 카자흐스탄의 메마른 초원 위에서도 “언어는 민족의 피다. 피가 멎으면 생명도 멎는다.”라고 기록했다.
고려인 소설가이자 극작가 김기철(필명 북촌, 1907-1993)/사진=고려인마을 제공
0그에게 한글은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살아남은 자들이 서로를 기억하게 하는 마지막 끈이었다. 그는 또 다른 작품에서 “우리의 길은 멀고도 험하나, 말이 살아 있는 한 우리는 아직 조국을 잃지 않았다.” 고 썼다.
그의 글은 절망의 시대 속에서 신앙처럼 붙잡은 언어의 증언이었다. 이러한 기록의 가치는 오늘날 인정받아, 김기철의 희곡과 원고 일부는 2020년 ‘국가기록물 제13호’ 로 지정되었다. 이는 고려인 한글문학이 단지 개인의 창작이 아니라, 민족의 역사와 기억을 지탱해 온 문화유산임을 증명하는 상징적 사건이다.
그의 작품들은 인물의 고통과 그리움을 통해 공동체의 정신을 일깨운다. 한 등장인물은 이렇게 말한다. “눈보라 속에서도 불씨는 꺼지지 않는다. 그것이 우리의 말이고, 우리의 혼이다.”
이 짧은 대사는, 중앙아시아 황무지에서도 언어로 살아남은 디아스포라의 의지를 대변한다.
이번 전시에는 김기철 외에도 고려인문학의 초석을 다진 작가들이 함께 소개된다. 시인이자 소설가 전동혁, 서정으로 망명의 기억을 노래한 정추, 침묵 속에서도 언어의 불씨를 지켜낸 김두칠, 그리고 음악으로 민족의 정체성을 이어온 작곡가 '한야꼬브' 가 그 주인공이다.
김병학 고려인문화관 관장은 “김기철의 작품은 고통의 시대를 지나며 언어로 신앙을 고백한 기록”이라며 “그의 글 한 줄 한 줄이 조국과 민족을 향한 간절한 기도였다” 고 말했다.
이어 “이번 전시를 통해 후세대들이 한글의 가치와 고려인문학의 뿌리를 다시금 되돌아 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한글문학 기획전’ 은 고려인 한글문학 관련 원고 및 희곡 초고, 신문 기사 등 이 전시되고 있다. 전시는 고려인문화관 2층에서 내년 2월 말까지 상설 운영되며, 관람은 무료다. 사전 예약 시 고려인마을주민관광청 전문 해설사의 안내와 함께 작품 해설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이믿음기자 sctm03@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고려인마을 #고려인 #재외동포 #광주광역시 #역사마을1번지 #광주여행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