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 어촌신활력증진사업(어촌회복형) 선정 82억원 확보-부안군 모항~도청항 어촌회복형 사업 종합계획도 / 부안군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부안군이 또 한 번 해냈다.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어촌회복형)’ 공모에서 전북특별자치도 내 유일하게 선정되며 총사업비 82억 원을 확보했다. 이는 단순한 행정 성과가 아니라, 부안군 어촌 재생정책의 일관성과 전략적 접근이 빚어낸 결과다. 군은 오는 2026년부터 2029년까지 4개년에 걸쳐 모항과 도청항 일원에 어촌의 정주여건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생활 SOC 확충, 안전방재 인프라 정비, 어업기반시설 보강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고령화와 인구유출로 침체된 어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핵심 지역균형 프로젝트다. 특히 단순한 시설투자가 아닌, 주민 체감형 정주환경 개선과 생업기반 재건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살고 싶은 어촌, 돌아오는 어촌’을 실현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부안군은 모항·도청항을 거점으로 공동이용시설 조성, 생활편의 SOC 확충, 호안 및 진입로 정비 등 지역 주민의 생활 안전망을 강화하는 한편, 어항과 어업기반시설을 재정비해 어촌경제의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부안군의 이번 성과는 결코 단발적인 공모 선정이 아니다. 군은 이미 2018년 민선 7기부터 ‘어촌뉴딜 300사업’으로 9개 지구의 어항 인프라를 개선하며 어촌재생의 토대를 다졌다. 이어 민선 8기 들어 2023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유형2)’, 2024년 2월 ‘어촌신활력증진사업(유형1)’에 잇따라 선정되었고, 이번에는 ‘어촌회복형’으로까지 선정되며 3연속 국가공모에서 성과를 거뒀다. 이는 단순한 행정운이 아닌, 부안군의 체계적 어촌정책 기획력과 현장 중심 행정의 결과라 할 수 있다.

군은 향후 이들 세 가지 유형의 신활력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지역 해양·어촌 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을 세웠다. 변산·궁항권역, 모항·도청항권역을 중심으로 어촌별 특성을 살린 맞춤형 개발을 병행하고, 단계별로 추진 중인 어촌어항 재생사업과도 연계해 지역 전체 어촌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특히 이번 어촌회복형 사업은 단순한 ‘생활환경 개선’ 차원을 넘어, 주민이 실제로 ‘삶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어촌 혁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낙후된 방재시설 보강과 접근로 확충으로 안전성을 높이고, 어업인들의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기반을 함께 마련함으로써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이번 어촌회복형 사업 선정을 통해 주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생활환경 개선과 어업활동 인프라 강화를 병행할 것”이라며 “부안의 어촌이 더 이상 소멸의 공간이 아니라, 귀어·귀촌이 활발한 재생의 중심지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양도시 부안으로 나아가기 위한 도약의 기반을 착실히 다져, 머물고 싶은 어촌, 돌아오는 어촌을 실현하겠다”고 덧붙였다.

부안군은 앞으로도 해양수산부의 중장기 어촌개발 정책에 발맞추어 어촌경제의 자립 기반을 확립하고, 인구감소 시대에 맞서는 지속가능한 어촌모델 구축에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부안군은 전북특별자치도 내 어촌정책 선도 자치단체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부안군 #해양수산부 #어촌신활력증진사업(어촌회복형) #생활SOC확충 #안전방재인프라정비 #어업기반시설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