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최진수기자] 부안군이 행정의 책상을 벗어나 현장에서 답을 찾기 시작했다.
정화영 부군수는 27일, 3분기 주요 투자사업 중 ‘부진’으로 분류된 7개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며 현장행정에 나섰다. 단순한 점검이 아닌, 행정 지연의 원인을 해부하고 대안을 즉각 실행에 옮기기 위한 강력한 행보다.
“현장에서 답을 찾다!” 부안군, 부진사업 해결 집중 / 부안군 제공
 
이번 현장점검 대상은 ▲매화풍류마을 쉼터 조성사업 ▲금종소하천 정비사업 ▲지방어항 건설 ▲어촌뉴딜300사업 ▲지동소하천 정비사업 ▲변산해수욕장 관광지 조성사업(2단계) ▲격포항 궁항 연안정비사업 등 총 7개소다.
이들 사업은 부안군 지역개발의 핵심축을 이루는 프로젝트로, 일부는 사업협의 지연과 행정절차적 난항으로 일정이 늦춰지며 군민 불만이 쌓여왔다.
정 부군수는 현장에서 관계 부서 및 시공사 관계자들과 직접 대면하며, “책상 위 보고보다 현장이 더 많은 답을 준다”며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즉시 도출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특히, “행정의 관성에 안주해선 안 된다. 군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사업은 존재 이유가 없다”며 부서 간 칸막이를 없애고 협업체계를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현장에서 답을 찾다!” 부안군, 부진사업 해결 집중 / 부안군 제공
 
부안군은 이번 현장방문을 통해 각 사업의 추진현황, 예산 집행률, 장애요인 등을 면밀히 점검했다. 관계기관과의 협의 지연, 주민 민원 대응, 행정절차상 문제 등 ‘현장의 병목’을 직접 짚으며 사업의 병리적 원인을 진단했다. 이 과정에서 행정과 현장 간 괴리를 좁히기 위한 ‘즉시 대응체계’ 구축도 함께 논의됐다.
군은 연내 정상 추진을 목표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지연사업에 대한 관리감독 체계를 ‘속도 중심’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특히, 매월 단위의 점검과 후속조치 보고회를 정례화해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고 예산 낭비를 차단할 계획이다.
정화영 부군수는 현장 점검을 마치며 “공무원은 군민의 삶을 바꾸는 실천가여야 한다”며 “현장 중심의 적극행정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군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결과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장에서 답을 찾는 행정이야말로 진짜 행정”이라며, “모든 부서는 이 원칙을 기준으로 움직여 달라”고 주문했다.
“현장에서 답을 찾다!” 부안군, 부진사업 해결 집중 / 부안군 제공
 
부안군은 이번 점검을 기점으로 각 사업별 전담팀을 지정해 추진상황을 상시 관리하고, 개선사항은 즉각 반영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지연사업=부실행정’이라는 오명을 벗고,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행정으로 체질을 바꾼다는 목표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점검을 넘어, 행정의 실행력을 회복하고 군민 중심의 소통행정을 실현하기 위한 부안군의 의지 표명으로 해석된다. 특히, 사업의 완성도보다 ‘속도와 체감’을 중시하는 정 부군수의 행정 철학이 반영되면서, 관료적 절차보다 현장 실효성을 중시하는 실무 중심의 전환이 이뤄질 전망이다.
결국 이번 ‘현장행정 강화’는 부안군이 중앙 중심 행정체계의 수동적 구조에서 벗어나, 자치단체 스스로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전북특별자치도형 적극행정’의 모델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행정은 더 이상 보고서로 존재하지 않는다. 부안군의 변화는 현장에서 시작됐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부안군 #매화풍류마을쉼터조성사업 #금종소하천정비사업 #지방어항건설 #어촌뉴딜300사업 #지동소하천정비사업 #변산해수욕장관광지조성사업(2단계) #격포항궁항연안정비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