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한국문화원은 10월 24일(금) 런던에서 ‘K-컬처 포럼- 헤드라인 너머(K-Culture Forum- Beyond the Headlines)’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BBC와 파이낸셜타임즈 등 세계적 위상을 지닌 영국 주요 20개 언론의 한국 관련 기사를 분석한 ‘2025 코리안 트렌드- 영국편’을 발표하고, ‘탑 10 K-컬처 키워드’을 선출해 K-소프트 파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사진은 2부 패널토론 모습[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한국문화의 세계적 확산을 주도하는 주영한국문화원이 런던 한복판에서 한류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하는 국제 포럼을 열었다.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은 "지난 10월 24일(금), 영국 런던에서 「K-컬처 포럼: 헤드라인 너머(K-Culture Forum: Beyond the Headlines)」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BBC와 파이낸셜타임즈 등 영국 주요 20개 언론의 한국 관련 기사 분석을 토대로 ‘2025 코리안 트렌드: 영국편’을 발표하며, 한류의 글로벌 확장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 문화, 지금!’ 캠페인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K-콘텐츠와 K-푸드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사회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한-영 문화 교류의 새로운 비전을 논의했다.
주영한국문화원 선승혜 원장은 “K-소프트 파워는 감정의 힘(emotional power)”이라며 “첨단기술과 감정언어가 융합된 K-컬처는 이제 세계 디지털 문화의 감정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1부 기조연설에서는 영국 언론이 주목한 다섯 가지 K-컬처 핵심 분야가 공개됐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과 한국문학의 세계적 위상, 테이트 모던·헤이워드 갤러리에서 열린 한국 현대미술전, 블랙핑크 웸블리 공연을 중심으로 한 K-팝, 디지털 애니메이션 ‘K-POP Demon Hunters’, AI 기반 디지털 문화유산 프로젝트 등이다.
이어 문화원 김다석 실무관은 BBC, 파이낸셜타임즈, 이코노미스트 등 영국 20개 언론의 분석을 통해 ‘Top 10 K-Culture Keywords’를 발표했다.
키워드에는 블랙핑크, 오징어 게임, 손흥민, 떡볶이, 고추장, 글라스 스킨(Glass Skin), 해녀, K-POP Demon Hunters 등이 포함됐다. 그는 “이제 한국어 단어가 번역 없이 그대로 영국 언론에 등장할 만큼 K-컬처의 영향력은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2부 패널 토론에는 BBC 기자 이윤녕, 유튜버 아르망 드 램빌리, CJ 비비고 영국 법인 한지수 대표, 한식 셰프 김지훈 등이 참석해 K-콘텐츠와 K-푸드의 미래를 주제로 열띤 토론을 펼쳤다.
참가자들은 “한국 문화의 강점은 진정성과 정서적 공감력에 있다”며 “한류는 이제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감성과 경험이 결합된 새로운 문화 생태계로 발전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마지막으로 열린 오픈포럼에서는 넷플릭스, 유튜브, BBC, 브리티시 카운슬 등 다양한 기관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K-콘텐츠 수출 전략과 한-영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K-컬처가 더 이상 일시적 유행이 아닌, 지속 가능한 문화 이니셔티브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행사로 평가된다. 주영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한-영 문화 교류의 폭을 넓히고, 한국문화가 세계 속에서 지속 가능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주영한국문화원 #K컬처포럼 #한류 #K콘텐츠 #K푸드 #블랙핑크 #한강 #K소프트파워 #BBC #파이낸셜타임즈 #한영문화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