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김성민 기자] 유원골프재단(이사장 김영찬)과 서울대 스포츠산업연구센터가 국내 골프산업 동향과 향후 전략을 제시한 ‘한국 골프산업백서 2024’를 23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백서는 2016년 연구 이후 2년 주기로 발표되는 다섯 번째 자료로, 2022~2023년 국내 골프시장 데이터를 중심으로 필드골프, 스크린골프, 대회, 용품, 시설, 유통 등 전 산업군의 시장 규모와 가치를 분석했다.
백서는 스포츠시장가치망 개념을 적용해 골프산업을 본원시장과 파생시장으로 구분했다. 골프 직접 참여·관람이 본원시장, 골프용품·골프장 운영·시설관리 등 관련 산업이 파생시장이다. 2023년 국내 골프시장 규모는 22조4330억 원으로 2022년(20조7810억 원) 대비 8% 성장했으며, 골프 인구는 700만 명을 상회한 것으로 분석됐다. 구성별로는 본원시장이 8조1750억 원(36.4%), 파생시장이 14조2590억 원(63.6%)으로 집계되어 파생시장이 산업 외연 확장을 이끌었다.
세부 항목을 보면 2023년 본원시장 중 필드골프 직접 참여(비이벤트 필드) 비중이 58.8%로 가장 높았으나 규모는 4조8030억 원으로 2022년(5조2040억 원) 대비 7.7% 감소했다. 반면 스크린골프 참여(비이벤트 스크린)는 28.9% 비중, 2조3590억 원으로 2022년(2조1940억 원) 대비 약 7.5% 성장했다. 파생시장에서는 연습장·스크린 설비를 포함한 용품시장이 11조4440억 원으로 2022년(9조9770억 원) 대비 14.7% 증가했고, 골프관광 시장도 1조2410억 원으로 2022년(8640억 원) 대비 43.6% 성장했다. 관람 시장은 5890억 원으로 2022년(5190억 원) 대비 13% 늘었다. 백서는 2023년까지 이어진 골프 인구 증가와 가계 소비 회복이 파생시장·관람 수요 확대를 이끌었고, 이로써 참여 비이벤트 본원시장의 축소에도 전체 시장이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백서는 ESG 경영 차원에서 전자책으로 발간됐으며, 유원골프재단 홈페이지에서 열람 가능하다. 김영찬 이사장은 “시장 규모 증감뿐 아니라 소비 행태 변화와 산업 구조 다변화를 폭넓게 반영했다”며 국내 골프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활용을 기대했다. 강준호 서울대 스포츠산업연구센터장은 “연속 분석으로 축적된 시계열 자료의 가치가 높아졌다”며 “스포츠시장가치망 분석 틀이 다양한 스포츠산업에도 적용돼 한국 스포츠 전반 발전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파생시장 성장세와 스크린골프·용품·관광의 수요 변화를 바탕으로 시설·유통 효율화, 데이터 기반 수요 예측, 친환경 운영 전략 등을 향후 과제로 제시했다. 국내 골프산업은 인구 저변과 파생시장 확대를 축으로 구조적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라는 평가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유원골프재단 #서울대스포츠산업연구센터 #한국골프산업백서2024 #골프산업 #골프시장규모 #스크린골프 #골프용품 #골프관광 #파생시장 #본원시장 #골프인구 #골프산업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