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소순일기자] 지난해 장기이식을 기다리다 숨진 환자가 3,000명을 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희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남원장수임실순창·보건복지위원회)
고령화로 장기이식 수요는 늘고 있지만, 뇌사 장기 기증자는 꾸준히 감소해 이식 대기 기간이 해마다 길어지고 있다.
박희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남원장수임실순창·보건복지위원회)이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2,191명이던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자 수는 지난해 3,096명으로 1.4배 증가했다.
장기별로는 신장이 1,676명(54.1%)으로 가장 많았고, 간장 1,117명(36.1%), 심장 142명(4.6%), 폐 88명(2.8%), 췌장 72명(2.3%) 순이었다.
올해 8월 기준 장기이식 대기자는 4만6,935명으로 2020년보다 1.3배 늘었다. 이 가운데 신장이 3만6,901명(78.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간장 6,609명(14.1%), 췌장 1,602명(3.4%), 심장 1,271명(2.7%)으로 집계됐다.
이식까지 걸리는 대기일수도 증가했다. 신장은 2020년 2,222일에서 올해 2,963일로, 췌장은 같은 기간 1,391일에서 2,800일로 두 배나 늘어났다. 환자들은 평균 8년 이상을 기다려야 장기이식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반면, 뇌사 장기 기증자 수는 감소세다. 2016년 573명에서 지난해 397명으로 줄었고, 이에 따라 기증 건수도 1,888건에서 1,377건으로 감소했다. 인구 100만 명당 뇌사 기증률은 7.75%로, 미국(28.4%)·스페인(26.22%)·스웨덴(17.1%)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박희승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의료대란 여파가 장기기증 체계에도 악영향을 미쳤다”며 “이식만 받으면 살 수 있는 환자들이 끝내 생명을 잃는 안타까운 현실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장기기증 인식 개선과 기증자 예우, 그리고 기증희망 등록의 접근성 강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사의창 소순일 기자 antlaandj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