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021_광주테크노파크는 21일 성명서를 통해 “국가 AI 컴퓨팅센터는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에 설립되어야 한다”며, 광주 유치를 강력히 촉구했다.2조 5천억 원이 투입되는 국가 AI 컴퓨팅센터 공모가 막바지에 이른 가운데, 광주테크노파크는 광주가 이미 국가 AI 산업의 실질적 허브로서 모든 준비를 마친 도시라고 강조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테크노파크(원장 김영집)는 21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국가 AI컴퓨팅센터는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에 설립되어야 한다”며 광주 유치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번 성명은 2조 5천억 원이 투입되는 국가 AI컴퓨팅센터 공모 마감이 임박한 가운데, 광주가 이미 국가 AI산업의 실질적 허브로서 모든 준비를 마쳤다는 자신감을 담고 있다.
광주테크노파크는 “광주는 지난 7년간 AI데이터센터를 직접 운영하며 실증과 경험을 축적해온 도시로, ‘준비된 AI 산업 중심도시’임을 실제로 증명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AI집적단지 조성과 인공지능특별지구 지정 등 대한민국 AI산업의 핵심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왔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가 AI컴퓨팅센터의 광주 설립은 지역 이익의 문제가 아닌, 국가 산업경쟁력 강화와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며 “광주는 AI산업의 속도·집적·확산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도시”라고 평가했다.
광주테크노파크는 국가 AI컴퓨팅센터를 단순한 인프라 구축 사업이 아닌 “국가의 책임 아래 공공 데이터·연산 인프라를 마련하는 미래산업 전략사업”으로 규정했다. 따라서 “이 사업은 기업의 이해관계나 단기 경제논리가 아니라, 국가균형발전과 산업경쟁력 강화라는 공공적 가치를 기준으로 결정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광주테크노파크 김영집 원장은 “광주는 AI산업의 중심이자 국가 AI 생태계 완성의 마지막 퍼즐”이라며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국가 AI컴퓨팅센터가 반드시 광주에 설립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광주테크노파크 임직원 일동은 성명을 통해 “AI데이터센터 운영 경험, 인재양성 생태계, 첨단 인프라를 모두 갖춘 광주야말로 국가 AI산업의 심장”이라며 “국가의 약속이 실현되는 정의로운 결정이 내려지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다음은 [국가 AI 컴퓨팅센터 광주 설립 촉구 성명서] 전문이다.
국가 AI 컴퓨팅센터, 광주가 정답입니다!
2조 5천억 원이 투입되는 국가 AI 컴퓨팅센터 공모가 막바지에 이른 지금, 광주는 이미 인공지능 중심도시이자 국가 AI 산업의 실질적 허브로서 모든 준비를 마쳤습니다.
광주는 국가 AI 데이터센터 운영, 인공지능특별지구 지정, AI 집적단지 조성 등을 통해 대한민국 인공지능 산업의 선도도시로서 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해 왔습니다.
광주는 지난 7년간 AI 데이터센터를 직접 운영하며 실증과 경험을 축적한 도시입니다. 이는 선언이 아닌, 실제 성과로 입증된 준비된 도시입니다.
국가 AI 컴퓨팅센터의 광주 설립은 지역 이익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는 대한민국 AI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균형발전을 위한 국가적이고 전략적인 선택입니다. 광주 유치는 단순한 지역 이슈를 넘어, 국가 AI산업의 속도·집적·확산을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결정이 될 것입니다.
국가 AI 컴퓨팅센터 설립은 단순한 인프라 사업이 아닙니다. 이는 국가의 책임 아래 공공 데이터·연산 인프라를 구축하여 대한민국 미래산업의 디딤돌을 놓는 국가 전략사업입니다. 따라서 이 사업은 기업의 이해관계나 단기 경제논리가 아니라, 국가균형발전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공적 가치와 국가책임을 기준으로 결정되어야 합니다.
광주는 AI 산업의 중심지이자 국가 AI 생태계 완성의 마지막 퍼즐입니다.
광주테크노파크 임직원 일동은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국가 AI 컴퓨팅센터가 반드시 광주에 설립될 것을 강력히 촉구합니다.
2025년 10월 21일
광주테크노파크 임직원 일동
|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테크노파크 #국가AI컴퓨팅센터 #AI산업허브 #인공지능특별지구 #AI집적단지 #김영집원장 #AI데이터센터 #국가균형발전 #AI선도도시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