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 안평환 시의원(북구 중흥동·중흥1동·중앙동·임동·신안동)은 21일 열린 제337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기후위기 시대, 광주가 다시 흘러야 한다”며 도시 안전의 근본적 전환을 촉구했다.(사진=송상교 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광역시의회 안평환 시의원(북구 중흥동·중흥1동·중앙동·임동·신안동)은 21일 열린 제337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기후위기 시대, 광주가 다시 흘러야 한다”며 도시 안전의 근본적 전환을 촉구했다.
안평환 시의원은 “시민의 경고를 무시한 행정이 재난의 원인이 되었다”며 지난 7월 발생한 신안교 일대 침수 피해를 사례로 들었다. 그는 “이번 침수는 하천 범람이 아니라 내수침수의 결과였다”며 “시민들이 수차례 배수 문제를 제기했지만 행정은 설계상 문제가 없다며 사업을 강행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홍수방어벽은 시민 안전을 위한 시설이지만, 배수 대책 없는 방어벽은 오히려 재난의 벽이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광주광역시의 물순환 선도도시 정책의 성과와 한계도 짚었다.
“광주는 상무지구를 중심으로 시범사업을 통해 일정 성과를 거뒀지만, 침수 취약지역인 신안동 등으로 확산되지 못했다”며 “극한 강우에 대응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행정의 한쪽 손은 하천에 물을 채우고, 다른 한쪽 손은 지하수를 버리고 하수도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며 “물순환 정책의 실효성을 담보할 통합 관리 체계와 평가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평환 시의원은 “이제는 물을 막는 도시에서 스며들고 순환하는 도시로 바꿔야 한다”며 기존의 회색 인프라(저류조, 배수관) 중심 정책을 넘어 녹색 인프라(LID·저영향개발) 확대를 제안했다. 그는 “녹색 인프라는 단발적·지엽적으로 추진돼선 안 되며, 도시계획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복개하천 복원의 필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안평환 시의원은 “복개하천 복원은 단순한 미관사업이 아니라 도시 물순환 회복과 침수 예방을 위한 근본적 대책”이라며 “광주는 예산과 교통 문제를 이유로 미루는 사이, 전주·부천·수원 등은 단계별 복원과 민관 협력으로 이미 성과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광주도 시범사업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주민참여형 재난대응체계 구축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일본의 ‘자조–공조–공조’ 삼중 방재 모델을 소개하며 “재난 현장에서는 행정보다 시민과 이웃의 손이 먼저 움직인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자·취약계층을 이웃이 함께 대피시키는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재난 대응 전문인력을 자치구별로 배치해 상호 지원 가능한 방재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안평환 시의원은 발언을 마무리하며 “복개하천 복원은 단순한 공사가 아니라 미래 세대에게 돌려줘야 할 생명의 길”이라며 “오늘 우리가 물길을 열지 않는다면, 내일의 아이들은 숨 막힌 도시 속에서 기후의 분노를 견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광주는 이제 다시 흐르는 물처럼 변화해야 하며, 멈춰 있던 도시의 시간을 움직이게 할 첫 번째 물길의 회복이 새로운 광주의 미래를 여는 시작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의회 #안평환의원 #기후위기 #도시안전 #물순환정책 #복개하천복원 #녹색인프라 #저영향개발 #시민참여방재 #광주도시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