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강성진, 100석 소극장 창작 초연작 출연


[시사의창=원희경 기자] 부산 광안리의 100석 규모 소극장 ‘어댑터씨어터’에서 초연 중인 뮤지컬 〈80일간의 세계일주〉가 연일 매진을 이어가며 지역 공연계의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작품은 단순한 흥행작이 아니라, 스타 배우 강성진이 창작 초연 무대에 직접 참여해 지역 창작자와 관객의 간극을 좁히는 ‘공공적 공연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지역에서 제작된 창작 공연이 관객의 관심을 얻지 못한 채 사라지는 사례는 많다. 특히 100석 규모의 소극장은 흥행이 어려운 환경이다. 그러나 이번 공연은 그 고정관념을 깼다. 지역 창작진이 만든 신작에 스타 배우가 참여함으로써 작품의 완성도와 인지도를 동시에 끌어올렸다.

공연 관계자에 따르면 “기존보다 다양한 연령대의 관객이 유입되고, 신규 관객의 비율이 뚜렷하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스타 배우의 참여가 단순한 ‘흥행 카드’가 아니라, 공연 생태계 확장을 위한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국내 공연계에서 대중적 배우들은 보통 검증된 대형 상업작이나 라이선스 뮤지컬에 출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강성진은 ‘흥행 보장’ 대신 지역 창작 초연작을 선택했다. 그는 이번 작품 참여에 대해 “100석 소극장에서 처음 만들어진 작품이지만, 대본과 음악의 완성도가 높아 의미 있게 다가왔다”고 말했다.

강성진 배우


이어 “좋은 작품이 자라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선배 배우로서 해야 할 일이라 생각한다”며 후배 창작자 지원 의지를 드러냈다.

이 공연 구조는 영국의 돈마 웨어하우스(Donmar Warehouse) 등 영미권의 창작 초연 중심 제작 방식과 유사하다. 유명 배우가 새로운 작품의 ‘성장 파트너’로 참여하며 관객 저변을 확장하고, 창작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모델이다.

관객들의 반응도 뜨겁다. 한 관객은 “강성진 배우 이름을 보고 왔지만, 작품의 힘에 감동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객은 “젊은 창작자의 에너지와 선배 배우의 존재감이 어우러진 무대였다”고 평가했다.

결국 이번 공연은 지역 공연계의 선순환 구조를 가능하게 한 실험적 성공사례로 꼽힌다. 스타 배우의 참여를 통해 작품의 예술성과 흥행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지역 창작자들이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전문가들은 “이 모델이 K-컬처·K-뮤지컬이 지향해야 할 공공적 방향을 제시한다”며, 향후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제작 시도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사례는 단발적 이벤트가 아니라, ‘지역 창작이 산업으로 연결되는 첫 단계’로서 의미가 크다. 작은 무대가 새로운 문화를 키우고, 스타가 그 중심에서 공공성을 실천하는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공연 정보]
공연명: 뮤지컬 〈80일간의 세계일주〉
기간: 2025년 10월 17일 ~ 10월 26일 (공연 중)
장소: 광안리 어댑터씨어터 2관 (100석)
제작: 어댑터씨어터(ADAPTER THEATER), 예술은공유다
대본·연출: 유병은 / 작곡: 강진명
출연: 강성진, 김형균, 구옥분, 김륜호, 엄준식, 김두리, 우한수, 이은미

원희경 기자 chang-m1@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강성진 #뮤지컬 #창작초연 #부산공연 #소극장 #80일간의세계일주 #K뮤지컬 #지역공연 #공공성 #돈마웨어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