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광산을)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6년간,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작은도서관 5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중단이나 폐관이 급증하며 지역 독서문화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전국의 작은도서관 5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중단이나 폐관이 급증하며 지역 독서문화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광산을)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6년간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국 6,830곳의 작은도서관 중 1,440곳(21.1%)이 휴관 또는 폐관 상태였다. 2019년 648곳(9.7%)이었던 휴·폐관 수가 5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이는 사실상 다섯 곳 중 한 곳이 문을 닫은 셈으로, 지역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독서공간이 빠르게 줄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9.5%로 폐관율이 가장 높았고, 세종(6.1%), 광주(5.9%), 경기(5.4%), 강원(5.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5.2%), 전남(2.9%), 울산(1.5%), 제주(0.7%)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용객 수는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2,198만 명, 2021년 2,195만 명, 2022년 2,797만 명, 2023년 3,027만 명, 2024년 3,247만 명으로, 이용 수요는 늘고 있지만 운영 기반은 약화되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예산 축소다. 최근 5년간 지자체의 공공도서관 지원예산은 2023년 502억 원에서 2024년 332억 원으로 감소했다. 특히 문체부의 ‘작은도서관 문화가 있는 날’ 사업 예산 2억 원이 2년 연속 전액 삭감되면서, 각 지역의 문화 프로그램 운영이 사실상 중단됐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의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 예산도 2025년 6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 이상 줄었으며, ‘책친구 지원’ 등 독서진흥 사업 예산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민형배 국회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독서·서점·도서관·출판 관련 예산을 대폭 삭감한 결과, 작은도서관 휴·폐관 사태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도서관은 국민의 지적·문화적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기반시설인 만큼, 문체부는 다각적인 지원과 활성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민형배국회의원 #작은도서관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예산삭감 #윤석열정부 #독서문화정책 #휴관폐관사태 #공공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