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경기도가 동·북부 지역의 분만·응급 취약지 해소를 위해 총 56억 원을 투입, 응급진료 접근성과 출산 안전망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지원 규모는 지난해보다 18억4천만 원 증액된 수준으로, 도는 거점의료기관 지정과 인력 지원을 결합한 맞춤형 대책으로 도민 체감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동두천중앙성모병원 응급진료체계를 지원하고 있다.(경기도 제공)


도는 지난해 10월 동두천중앙성모병원과 양평병원을 취약지역 거점의료기관으로 지정해 24시간 응급진료체계를 운영하도록 지원했으며, 지역 내 유일 응급실 기능의 안정적 유지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응급환자의 대형병원 쏠림을 완화하고, 필요한 응급진료를 지역에서 즉시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는 평가다.​

올해는 가평·동두천·양평·양주 4개 의료기관에 응급실 전문의 인건비 32억 원을 지원하는 등 운영 현장에 실질적 재정을 투입했다. 그 결과 7월 말 기준 응급환자 진료가 총 2만8,832건으로 집계돼, 응급의료 접근성 제고와 환자·가족의 시간·비용 부담 완화에 기여했다.​

분만 취약에 대한 대응도 병행했다. 도는 올해 처음으로 24억 원을 투입해 분만취약지 임산부의 원거리 진료 교통비를 지원, 당초 2,400명 목표를 9월 25일 기준 2,626명으로 109% 초과 달성했다. 산전·산후 진료의 안전성과 접근성을 높이며 건강한 출산환경 조성에 실질적 성과를 거뒀다는 분석이다.​

경기도는 응급의료 취약지역 지원이 도민 생명과 건강권 보장을 위한 핵심 정책임을 거듭 강조했다. 유영철 도 보건건강국장은 “응급의료 취약지역 지원은 일시적 사업이 아니라 반드시 지속돼야 할 필수 공공정책”이라며, 안정적 운영으로 동·북부 주민이 안심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를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

도는 향후 거점의료기관 중심의 24시간 진료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임산부 이동 지원 등 생활밀착형 필수의료 보완책을 지속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현장 성과 기반의 예산·인력 배치, 응급이송 연계 효율화 등 후속 과제를 추진해 지역 간 의료격차를 실질적으로 축소한다는 계획이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경기도 #응급의료 #분만취약지 #의료격차해소 #동두천 #양평 #가평 #양주 #거점의료기관 #응급실전문의 #임산부교통비지원 #필수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