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광산을)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국가무형유산 전승 취약종목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갓일 보유자는 전국 4명에 불과하며, 평균 연령은 약 83세로 확인됐다. 갓일이란 ‘갓 만드는 일’로, 국가무형유산 중 하나다.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세계적 인기를 얻으며 한국의 전통 모자인 ‘갓’이 글로벌 문화 아이콘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정작 ‘갓일(갓 만드는 기술)’을 비롯한 국가무형유산은 전승 단절 위기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광산을)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국가무형유산 전승 취약종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갓일 보유자는 단 4명에 불과하며, 평균 연령은 83세에 달한다. 이처럼 무형유산 전승 인력의 고령화가 심각한 가운데,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대책은 여전히 미비한 상황이다.

‘갓일’을 비롯한 전통기술 분야 20종목 보유자 24명 중 70대 이상이 72%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통장(94세)’, ‘악기장(편종‧편경, 90세)’, ‘발탈(86~91세)’ 등도 유사한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나주의 샛골나이’, ‘바디장’, ‘백동연죽장’, ‘악기장(편종‧편경)’ 등 국가긴급보호무형유산 4종 중 3종이 현재 보유자 공백 상태다.

그러나 정부의 관련 예산은 정체돼 있다. 전체 국가무형유산 예산은 2024년 639억 원에서 2025년 543억 원으로 90억 원 이상 감소했고, 국가긴급보호무형유산 보호·육성 예산은 5년째 연 1억6천만 원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무형유산 보존의 시급성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민형배 국회의원은 “세계가 K-컬처 속 전통기술의 아름다움에 감탄하고 있지만, 그 뿌리를 지탱하는 장인들은 고령화로 사라지고 있다”며 “이대로 가면 국가무형유산의 명맥이 끊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보유자 공백 종목에 대한 신규 보유자 발굴 및 전승자 양성, 예산 증액과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편, 민형배 국회의원은 지난 9월 10일 전통문화가 세계 콘텐츠 산업으로 확장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콘텐츠산업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일명 케데헌법)’을 대표발의했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민형배국회의원 #국가무형유산 #갓일 #무형유산보호 #전통기술 #문화유산청 #케데헌법 #K컬처 #전통문화계승 #무형유산예산 #문화정책 #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