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답 찾는다' 안호영 기후노동위원장, 전북 민심 듣고 2025 국감 시동
[시사의창=김성민 기자] 안호영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전북 완주·진안·무주)이 오는 14일 시작되는 2025년도 국정감사를 앞두고 전북 지역 현장을 돌며 도민 의견을 직접 받았다.
학교 환경교육 강화, 전북형 ESG 교육모델 확산, 마을 단위 에너지조합 활성화, 수소경제 육성, 사람 중심의 AI 시대 대응 등 정책 제안이 쏟아졌고, 위원장은 이를 국감 점검 방향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 삶과 맞닿은 정책일수록 현장에서 답을 찾겠다”, “위원장실은 국감 기간 내내 열어 두겠다”는 원칙도 재확인했다
올해 국정감사는 10월 13~30일간 상임위별로 진행되며,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도 14일부터 증인·참고인 출석을 포함한 본감사에 들어간다. 국회와 각 위원회가 확정한 일정에 따르면 보건복지위를 포함한 다수 상임위가 14일 개시에 합의했고, 기후노동위 역시 14~30일 기관감사를 예고했다. 국회사무처는 종합상황실을 가동해 10월 중 국감 수첩과 종합일정표를 배포한다고 안내했다. 안 위원장은 개인 채널을 통해 ‘국민과 함께하는 국감’을 표방하며 온라인 질의 접수도 병행 중이다.
안호영 위원장 ,국정감사 앞두고 교육·에너지·노동 의제 수렴
전북형 의제는 구체 과제로 이어진다. 도교육청의 ESG 교육·실천 프로그램, 도민참여형 태양광 ‘햇빛발전소’, 시민 참여 재생에너지 마을 등 지역 사례는 학교·마을·지자체를 잇는 거버넌스 모델로 평가받아 왔다. 안 위원장은 이런 현장 경험을 토대로 교육–에너지–노동 전반의 제도 개선과 예산 감시를 병행하겠다는 구상이다. 전북 내 참여형 에너지 사업의 성과와 난제를 함께 짚어 지속 가능성을 점검하겠다는 점도 강조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현장 청취→국감 아젠다화→사후 제도개선”의 선순환을 만들 기회라는 평가가 나온다. 안 위원장은 국감 기간 중 국민 제보와 질의를 상시 수렴하겠다는 입장으로, 체감 변화를 만드는 정책 점검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국감이 ‘보고용 행사’가 아니라 생활현안 해결의 출발점이 되도록 실효적 점검과 대안을 내놓을지가 관전 포인트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안호영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 #전북 #ESG교육 #에너지전환 #마을에너지조합 #수소경제 #AI정책 #현장청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