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은 오는 10월 11일(토) 오후 3시, 토요 상설공연 22회차로 퓨전국악 단체 떠돌이의 '숨결, 떠돌다' 무대를 선보인다. 이미지는 토요상설공연 22회차(10월 11일) 홍보 리플렛.[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광주문화재단(대표이사 노희용) 전통문화관이 이번 주말, 감성과 체험이 어우러진 특별한 전통문화의 향연을 펼친다.
11일(토)에는 퓨전국악 단체 떠돌이의 ‘숨결, 떠돌다’, 12일(일)에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PLAY 무등풍류 뎐’이 이어지며 관람객들에게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풍성한 문화체험의 시간을 선사한다.
이번 토요 상설공연 ‘숨결, 떠돌다’는 생과 사의 순환을 음악으로 표현한 퓨전국악 무대로, 진도 씻김굿의 음악적 요소를 재해석해 삶과 죽음, 떠남과 순환을 잇는 여정을 담아낸다. 대금·판소리·국악 타악에 재즈 피아노와 일렉 베이스가 어우러져 국악의 정체성과 현대적 감각이 공존하는 음악적 실험무대를 만들어낸다.
공연은 ‘혼영(魂迎)’에서 떠도는 혼을 맞이하는 장면으로 시작해 ‘파혼(波魂)’의 폭풍 같은 감정의 흐름, ‘맺음의 길’에서 이별의 인사, 마지막 곡 ‘서곡(瑞曲)’에서 희망과 순환의 결말을 그리며 한 편의 서사시처럼 완성된다.
떠돌이는 재즈 피아노와 판소리, 대금, 국악 타악 등 이색적인 구성으로 국악과 재즈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음악 세계를 개척하고 있으며, 이번 무대는 전통과 현대의 감성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무대로 기대를 모은다.
12일에는 시민 참여형 역사 체험 프로그램 ‘PLAY 무등풍류 뎐’이 이어진다. ‘조선으로의 시간여행–암행어사, 변사또를 찾아라!’를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행사는 관람객이 직접 암행어사가 되어 탐관오리를 단죄하는 몰입형 스토리텔링 체험으로 구성된다.
조선시대 직업과 전통놀이를 배우고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어린이와 가족 단위 관람객들의 참여 열기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풍물굿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전문 타악그룹 얼쑤의 공연 *‘신명을 두드리는 소리 얼쑤’*도 열려 남도 타악의 역동성과 깊이를 한껏 느낄 수 있는 무대를 선보인다.
전통문화관은 매주 토요일 ‘토·토·전!(토요일, 토요일은 전통문화관에서 놀자!)’ 프로그램으로 절기 체험, 전통놀이, 한복 체험 등 시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화놀이터를 운영 중이며, 다음 주 18일에는 소리메굿 나래의 “다행다복–행운과 행복이 그대에게 닿기를” 무대가 이어진다.
광주문화재단 관계자는 “전통문화관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며, 세대와 문화를 잇는 열린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가을 주말, 감성적인 음악과 체험을 통해 시민들이 문화적 여유와 즐거움을 만끽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퓨전국악단체떠돌이 #숨결떠돌다 #PLAY무등풍류뎐 #퓨전국악 #조선체험 #얼쑤 #전통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