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쌀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전라남도 주력 품종인 ‘새청무’ 쌀이 본격 수확기에 들어섰다. ‘새청무’는 밥맛이 뛰어나고 품질이 우수해 전남도가 집중 보급하고 있는 전략품종이다.[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개발한 고품질 전략품종 ‘새청무’ 쌀이 본격적인 수확기에 들어서며, 전국은 물론 해외시장까지 판로를 넓히고 있다.
‘새청무’는 2017년 전남도 농업기술원이 자체 개발한 품종으로, 전남 벼 재배면적의 62%, 전국 단일품종의 17%를 차지하는 주력 품종이다. 밥맛이 뛰어나고 찰기가 좋으며, 윤기가 도는 쌀알로 소비자와 재배농가 모두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새청무 쌀은 ‘제26회 전국 고품질 쌀 생산 우수 쌀전업농 선발대회’에서 대통령상과 국무총리상을 모두 수상하며 전국 최고 품질을 입증했다. 올해로 23년째 이어지는 ‘전남 10대 고품질 브랜드쌀’ 중 9개 브랜드가 새청무 품종으로 선정될 만큼, 전남을 대표하는 쌀로 자리 잡았다.
밥맛의 핵심 지표인 단백질 함량 또한 5.62%로 전국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식감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쌀의 기준으로, 전남 10대 브랜드쌀 역시 평균 6.0% 이하의 최고 등급을 기록하고 있다. 전남도는 2027년부터 단백질 함량 의무화가 시행될 경우, 새청무 쌀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새청무 쌀의 전국 유통 기반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전라남도는 얌샘김밥에 130톤을 공급하며 매장 현판 제작과 시식홍보를 지원해 전국 단위 안정 공급망을 구축했다. 또한 CJ제일제당과 1만톤 공급 및 햇반 상품화 업무협약을 체결, 소비자 접점을 크게 넓혔다.
해외시장에서도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새청무 쌀은 미국·일본·몽골·프랑스 등 4개국에 1,000톤 이상 수출되며, K-푸드 인기에 힘입어 수출 규모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전라남도 농식품유통과 박상미 과장은 “새청무 쌀은 전남 농업인의 땀과 정성이 담긴 대표 브랜드로, 맛과 품질 모두 자신 있다”며 “전국 소비자에게 꾸준히 사랑받고 세계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전남의 쌀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전라남도는 추석 이후 본격적인 쌀 출하 시기에 맞춰 수도권 소비촉진 캠페인, 아침밥 먹기 운동, 옥외광고 홍보 등 다각적 마케팅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 #새청무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고품질쌀 #햇반출시 #CJ제일제당 #쌀수출 #전남10대브랜드쌀 #농업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