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가을철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를 맞아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 전파되며, 특히 가을철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에 집중 발생한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광역시는 본격적인 가을 나들이철을 맞아 진드기 매개 감염병, 특히 쯔쯔가무시증 발생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야외활동이 많은 10월부터 11월 사이 진드기 감염병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며 “특히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으로, 풀밭이나 산행 시 각별한 예방이 필요하다”고 9일 밝혔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 전파되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예가 바로 쯔쯔가무시증이다. 털진드기는 여름철 산란 후 9월 말부터 활동을 시작해 10월 중순 이후 급격히 증가하며,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쯔쯔가무시증 발생은 총 6,268건으로, 이 중 65%인 4,077건이 10~11월에 집중됐다. 광주에서도 219건 중 176건(80.4%)이 같은 시기에 발생해 가을철 예방이 절실한 상황이다.
쯔쯔가무시증은 조기에 항생제 치료를 받으면 완치가 가능하지만, 무엇보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광주광역시는 시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안내했다.
▶야외활동 시 긴팔·긴바지 착용으로 피부 노출 최소화
▶의복과 피부에 진드기 기피제 사용
▶풀숲·풀밭 위에 앉거나 옷을 벗어두지 않기
▶야외활동 후 즉시 샤워하고 입은 옷은 털어 세탁하기
▶물린 흔적이나 발열, 구토, 설사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진료받기 |
광주광역시 공공보건의료과 강윤선 과장은 “쯔쯔가무시증은 감염 후 초기 증상을 놓치면 폐렴, 심근염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야외활동 시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광역시는 앞으로도 보건소 중심의 감염병 모니터링 체계 강화, 예방 홍보 캠페인 확대, 의료기관 간 정보 공유를 통해 시민 건강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 #쯔쯔가무시증 #진드기감염병 #가을철질병 #감염병예방 #광주보건 #강윤선과장 #보건캠페인 #야외활동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