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원장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남 곳곳을 돌며 들은 민심을 전하며, 정부에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남 이전을 신중히 검토해 달라고 촉구했다.[시사의창=송상교 기자]


[시사의창=송상교 기자] 국회 행정안전위원장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이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남 지역 곳곳을 돌며 청취한 민심을 전하며,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남 이전이야말로 지방소멸과 농업위기를 동시에 해결할 국가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신정훈 국회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은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남도민들은 ‘내란세력을 뿌리뽑는 것이 진짜 대한민국의 최대 과제’라고 말하며, 이재명 정부의 균형성장전략인 5극 3특 체제에 큰 기대를 보였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해양수산부 이전과 가덕도공항으로 균형발전의 날개를 단 동남권처럼, 특별한 희생을 감내한 호남권에도 특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신정훈 국회의원은 “균형성장을 위해 도민들이 가장 많이 언급한 것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남 이전이었다”며 “전남은 전국 최대 농업지역이자 소멸지수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지방소멸과 농업위기는 동전의 양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농업이 사라지면 지방도 사라진다”며 “농식품부 전남 이전은 농업 회생과 지역 생존을 동시에 꾀하는 핵심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전남 농민들은 스마트팜을 도입하고 AI농업시대를 준비하고 있으며, 인접한 광주는 AI도시를 지향하고 있다”며 “광주의 AI기술과 전남의 혁신농업이 결합되면 AI농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농식품부가 전남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장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남 곳곳을 돌며 들은 민심을 전하며, 정부에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남 이전을 신중히 검토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미즌 페이스북 스크린샷.[시사의창=송상교 기자]


신정훈 국회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은 “현재 전남에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공무원교육원 등 농식품부 산하기관이 이미 집결해 있다”며 “선원은 같은 배에 타고 있는데 선장만 다른 배에 있는 셈”이라고 비유했다. 이어 “해양수산부가 부산항과 남해안이라는 정책 현장으로 이전한 것처럼, 농식품부도 농정의 중심지인 전남으로 오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은 낙후지역 발전을 위한 세계적 전략”이라며 “독일, 일본, 핀란드, 스웨덴, 영국 등도 부처 분산을 통해 현장 행정을 강화하고 지역균형을 실현했다”고 설명했다.

신정훈 국회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은 “농식품부 전남 이전은 단순한 행정이전이 아니라 국가균형발전의 새로운 동력이자 농업의 국가전략산업화를 촉진할 기회”라며 “스마트농업, K-푸드, AI농업 등 첨단농업의 전기가 되고, 새 정부가 추진 중인 양곡관리법·농수산물가격안정법·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의 실효성을 높이는 농업 르네상스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그는 “정부부처의 이전이 쉽지 않은 결정이라는 점은 이해하지만, 기후위기·식량위기·지방소멸이라는 국가적 과제 앞에서 농식품부 전남 이전은 반드시 논의돼야 한다”며 “해수부가 부산으로 간 것처럼, 호남권에도 농식품부 이전이라는 균형발전의 날개를 달아야 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신정훈 국회의원 페이스북] 전문이다.

<지방소멸과 농업위기를 막아낼 농식품부의 전남이전을 신중히 검토해 주십시오>

-전남도민의 추석민심을 전합니다.-

추석 연휴기간 전남에 있으면서 민심을 들었습니다. 내란세력을 뿌리뽑는 것이 진짜대한민국의 최대 과제라고 강조하셨습니다. 새 정부의 균형성장전략인 5극3특에 대한 기대도 무척 높았습니다. 특히 해수부 이전과 가덕도 공항으로 균형발전의 날개를 단 동남권처럼, 특별한 희생을 한 호남권에도 특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많았습니다.

특히, 도민들이 균형성장을 위해 가장 많이 말씀하신 것 중 하나가 농림축산식품부 이전과 같은 정부부처의 이전이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남 이전은 저의 오랜 주장으로 정부에 비공식적으로 의사를 타진한 적도 있었습니다. 제가 시장때 확정한 나주혁신도시는 결국 농식품부 이전으로 완성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전남은 전국 최대 농업지역이자 소멸지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입니다. 지방소멸과 농업위기는 동전의 양면입니다. 농업이 사라지면 지방도 사라집니다. 농식품부의 전남 이전은 지방소멸과 농업 회생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는 핵심적인 국가전략입니다.

전남 농민들이 스마트팜을 도입하고 AI농업시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남의 중심에 있는 광주가 AI도시를 꿈꾸고 있습니다. 광주의 AI와 전남의 혁신농업이 만나야 합니다. 광주의 AI기술을 활용해서 전남을 AI농업의 중심지로 육성해야 합니다. 이 일을 농식품부가 전남에 와서 성공시켜야 합니다.

전남에는 이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을 비롯해 주요 공공기관과 농업연구기관이 모두 모여 있습니다. 농식품부 산하기관은 모두 전남에 집중해 놓고 농식품부만 세종에 있습니다. 선원은 모두 같은 배를 타고 있는데 선장만 혼자 다른 배를 타고 있는 셈입니다.

해양·수산 정책의 주요현장이 부산항, 남해안이고 부산이 물류·항만 중심지에다 해양수산 연구·행정기관이 부산에 모여 있다는 이유로 해수부가 부산에 갔습니다. 마찬가지입니다. 농림·식품 정책의 주요 현장이 호남이고, 농업의 연구·행정기관이 전남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농식품부는 전남으로 와야 하는 것입니다.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은 낙후된 지역의 성장을 위해 각국 정부가 활용하는 국가균형성장 전략입니다. 독일, 일본, 핀란드, 스웨덴 영국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현장행정 강화를 명분으로 정부부처를 분산시켜 균형발전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농식품부의 전남 이전은 국가 균형발전의 동력이 될 것입니다. 국가필수 전략산업으로서의 농업의 위상을 강화하고, 스마트농업과 K-푸드를 비롯한 첨단 AI농업 발전의 전기가 될 것입니다. 아울러 새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양곡관리법과 농수산물가격안정법, 한우법 통과,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확정으로 맞이한 농어업의 회생을 이끌어 낼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정부가 정부부처를 나눠 배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부담스러운 일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기후위기와 함께 닥친 식량위기를 대비하고, 지방 소멸을 막는 것이 새정부 최대의 과제라면, 정부가 우리 전남도민의 목소리를 듣고 적극적으로 농식품부 이전을 검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5극 3특 중 동남권이 가장 먼저, 해수부 이전과 가덕도공항이라는 날개를 달았습니다. 호남권도 농식품부 이전이라는 날개를 달아줄 것을 전남도민과 함께 요청드립니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신정훈국회의원 #행정안전위원장 #농식품부전남이전 #균형발전전략 #지방소멸해법 #AI농업 #전남혁신농업 #K푸드 #농업르네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