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북구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마약류 의약품 처방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 주요 마약류 성분의 상위 20명은 평균 수천 정에 이르는 약을 처방받으며, 대부분 복수의 의료기관을 이용한 것으로 확인됐다.[시사의창=송상교 기자]
[시사의창=송상교 기자] 마약류 의약품의 중복·과다 처방을 막기 위한 관리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자들이 여러 병원을 돌며 대량으로 약을 처방받는 ‘마약 쇼핑’ 행태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진숙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24년 7월~2025년 6월 마약류 의약품 처방현황’ 자료 분석 결과, 주요 마약류 의약품(졸피뎀, 메틸페니데이트, 펜터민 등) 처방 상위 20명 환자 중 다수가 복수의 의료기관에서 수천 정의 약을 처방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졸피뎀의 중복 처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 마약류 성분 가장 많이 처방받은 상위 20명의 처방 현황(전진숙 의원실 제공)
졸피뎀 상위 20명은 총 197개 의료기관을 방문해 74,694정을 처방받았으며, 그 중 한 명은 56개 병원을 전전하며 9,332정을 처방받았다. 10개소 이상 의료기관을 방문한 졸피뎀 환자도 5명에 달했다.
3개 마약류 성분 가장 많이 처방받은 상위 20명이 방문한 의료기관 현황(전진숙 의원실 제공)
또한 식욕억제제(펜터민 등) 상위 20명은 60개 기관에서 111,889정, ADHD 치료제(메틸페니데이트) 상위 20명은 32개 기관에서 112,059정을 처방받았다. 1인당 평균 처방량은 모두 5천 정 이상이었다.
3개 마약류 성분 가장 많이 처방받은 상위 5인이 방문한 의료기관 수(전진숙 의원실 제공)
전진숙 국회의원은 “졸피뎀, 식욕억제제, ADHD 치료제는 의존성과 부작용이 높은 마약류 성분인 만큼, 반복·과다 처방이 단순 치료 목적을 넘어서는지 면밀한 점검이 필요하다”며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과 의료기관 처방시스템 간의 연계 관리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전진숙 국회의원은 “올해 6월부터 시행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의료기관과 약국의 처방 소프트웨어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한 만큼, 실시간 감시체계가 제대로 운영되는지 현장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진숙 국회의원은 앞서 관련 법 개정을 통해 의료기관·약국의 처방 시스템과 통합관리시스템 연계 및 기술 지원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 그는 “정부가 마약류 처방의 사각지대를 방치하지 말고, 데이터 기반 관리체계를 강화해 국민 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진숙국회의원 #광주북구을 #마약류의료쇼핑 #졸피뎀 #식욕억제제 #ADHD치료제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식약처 #보건복지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