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각종 재난으로부터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일상 생활주변에 불안전한 위험요소를 찾아 무료로 안전점검하는 ‘도민 안전점검 청구제’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도민 안전점검 청구제는 도민 누구나 주변 시설이나 구조물 등 위험 요소를 발견했을 경우 해당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도민 참여형 안전관리 제도다.[시사의창=송상교 기자]


[시사의창=송상교 기자]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안전점검 청구제’를 운영하며, 생활주변의 위험시설물을 사전에 점검·예방하는 안전 행정을 강화하고 있다.

‘도민 안전점검 청구제’는 도민 누구나 주변 시설물이나 구조물 등에서 위험요소를 발견할 경우, 해당 시설의 안전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참여형 안전관리 제도다. 전남도는 이를 통해 도민의 생활 속 안전 불안을 줄이고, 재난으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예방 중심의 행정을 펼치고 있다.

안전점검 요청이 접수되면 공무원과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합동점검반이 신청인과 일정을 협의한 뒤 직접 현장을 방문한다. 점검반은 시설물의 상태를 세밀하게 살피고, 소유주나 관리주체에게 위험의 정도를 분석한 후 보수·보강 방법 등을 제안한다. 모든 점검은 무료로 진행된다.

청구 대상은 단독주택, 마을회관, 소규모 공공·민간건축물, 교량, 축대, 옹벽 등 도민 생활과 밀접한 시설물이다. 다만 공사 중인 건물이나 소송 중인 시설, 법적 의무점검 대상, 민원 중인 시설 등은 제외된다.

지금까지 접수된 주요 불안전 요인은 균열, 박리·박락, 철근 부식 및 노출 등으로, 실제 거주 중인 건축물의 구조적 이상으로 불안감을 느낀 주민들의 요청이 많았다.

전라남도는 도민이 언제든 안전점검을 신청할 수 있도록 사회재난과 안전점검팀을 통해 전화·팩스 접수와 함께 전남도 누리집 온라인 신청도 받고 있다.

전라남도 사회재난과 이원형 과장은 “도민 스스로 주변의 위험요소를 살피고 안전점검 청구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안전한 전남을 만들 수 있다”며 “작은 위험요소라도 발견 즉시 신고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전라남도는 지난달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를 비롯해 전통시장, 버스터미널, 요양병원,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 170여 곳을 대상으로 건축·전기·가스·소방·교통 등 5개 분야의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도는 이를 통해 재난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고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 #도민안전점검청구제 #생활안전 #위험시설물점검 #합동점검반 #재난예방 #전남도민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