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도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중인 평생교육 지원 정책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사진은 전남 평생교육 라탄공예(보성군 문덕종합생활관)[시사의창=송상교 기자]


[시사의창=송상교 기자] 전라남도가 도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평생교육 지원 정책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는 모든 도민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도민 역량 강화를 위해 ‘찾아가는 전남형 평생학습’,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 등 신규 시책을 운영하는 한편, 기존 사업을 내실화해 체계적인 평생학습망을 구축하고 있다.

올해 처음 시행된 ‘찾아가는 전남형 평생학습 지원사업’은 학습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맞춤형 사업이다. 도민 10명 내외가 팀을 구성해 희망 강좌를 신청하면 강사가 직접 읍면까지 찾아가 교육을 실시한다. 현재 16개 시군, 1천870여 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접근성이 떨어지는 농산어촌 주민들의 호응이 특히 크다.

또한 국가에서 시행해오던 ‘평생교육이용권(바우처) 지원사업’이 올해부터 지자체로 이관되면서, 전남도는 1인당 35만 원을 지원해 도민들이 원하는 강좌를 자유롭게 수강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습비 부담을 덜고 자기계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 중이다. 전남도는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 강사를 양성해 어르신들이 스마트기기 활용과 미디어 정보 판별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도내 8개 장애인평생교육시설에는 총 23억 2천600만 원을 투입해 인건비, 운영비, 프로그램 개발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약 600여 명의 장애인 학습자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평생교육 문화 확산을 위한 노력도 활발하다. 시·도, 시군, 대학, 평생교육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평생교육 네트워크 운영사업’을 통해 정책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 기반을 강화하며, 학습 성과와 우수사례를 나누는 장을 만들어 평생교육 관계자들의 역량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특히 ‘찾아가는 생활문해교실’을 운영해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기초 문해 역량을 높이고 있으며, 문해교원 연수를 통해 문해교육 교사들의 전문성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오는 17일에는 화순에서 ‘평생교육 어울림의 날’을 개최해 평생교육 학습자와 도민이 함께 참여하고 즐기는 화합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2026년에는 여수시에서 ‘전라남도 평생학습박람회’를 열어 도민이 함께 배우고 즐기는 학습 축제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전라남도 강종철 인재육성교육국장은 “평생교육은 모든 도민이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기본권”이라며 “앞으로도 도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평생교육 정책을 적극 발굴·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 #평생교육 #찾아가는학습 #디지털문해교육 #평생학습박람회 #화순평생교육 #도민역량강화